광주광역시가 소상공인의 자금난을 덜어 주고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 특례보증 사업을 추진한다.
소상공인 특례보증은 소상공인들에게 저금리로 대출과 이자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광주시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자금난을 덜어주기 위해 소상공인 특례보증 사업을 1700억원 규모로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특례보증이 확대된 것은 광주시의 적극적인 노력과 지역 은행권의 협력 덕분에 가능했다.
실제로 특례보증 참여 은행이 2022년 5곳에서 올해 7곳으로 늘었고, 출연금도 72억원에서 122억원으로 대폭 확대됐다.
광주시는 지난 1월 23일 광주지역 경제주체 76개 기관·단체가 함께한 ‘광주경제 다함께 착착착’ 행사에서 금융기관 8곳과 ‘소상공인 특례보증 지원 협약’을 맺었다.
협약 참여 금융기관은 광주신용보증재단, 광주은행,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카카오뱅크 등 8곳이다.
협약에 따라 광주시가 41억원, 은행권이 81억원 등 총 122억원을 광주신용보증재단에 출연한다. 이를 통해 광주신용보증재단은 소상공인에 올해 상반기 1000억원, 하반기 700억원 등 총 1700억원의 보증을 제공한다.
광주시는 소상공인·자영업자에게 빠른 지원을 위해 사업 시행 시기를 지난해보다 1개월 앞당겨 1월로 조정했고 지난달 24일부터 특례보증을 시행하고 있다.
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관련 관광업계의 경영 안정을 위해 50억원을 관광사업자에게 우선 공급한다.
고물가를 반영해 최대 대출한도는 업체당 5000만원 이내며 특례보증 운영 기간은 한도가 소진될 때까지다.
소상공인 특례보증 융자 지원 대상자는 유흥·도박·사행성 업종 등 일부 업종을 제외한 광주지역 소재 소기업·소상공인·자영업자 전 업종이다. 대출조건은 광주신용보증재단의 심사와 보증을 통해 담보 없이 융자받을 수 있다.
신용점수 350점 이상의 소상공인은 이날 협약한 은행에서 최대 5000만원 한도 내에서 일시상환, 1년 거치 2년 분할 상환, 1년 거치 4년 분할 상환, 1년 거치 6년 분할 상환 중 선택해 대출 신청하면 된다.
상환 방법은 기존 2종에서 4종으로 확대해 선택의 폭을 넓혔다.
대출금리는 변동금리로 단기코픽스+1.5~1.6% 또는 CD금리(91일)+1.5~1.6%이며, 보증수수료는 연 0.7%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번 특례보증으로 꽁꽁 얼어붙은 민생경제에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언제나 소기업·소상공인 곁에 있는 광주는 더 따뜻한 민생경제를 위해 최선을 다해 뛰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