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연은 '2025년 중소기업 10대 이슈와 대응방향' 보고서를 발표하고 중소기업이 올해 경제성장 둔화와 국가 간 무역분쟁 격화, 기술 격차 심화 등의 경영환경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했다.
10대 이슈에는 △세계 무역 분절화 지속 △고환율과 중소기업 수익성 악화 △기업 간 생산성 격차 지속 △중소기업 재무 안정성 악화 및 한계기업 증가 △글로벌 환경정책 불확실성 확대 △대·중소기업 신기술 도입 격차 확대 △중소기업 인력난 지속 △중소기업 인력 고령화 △청년 인력의 중소기업 기피 심화 △지역 중소기업 경영환경 악화 등이다.
보고서는 미국과 EU(유럽연합)의 보호무역주의가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원화 가치 하락(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입 원가 상승이 수익성을 악화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글로벌 탈탄소 규제와 미국의 화석연료 지원정책 등 상충하는 정책으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대·중소기업 간 신기술 도입 격차도 심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청년층의 중소기업 기피와 인력 고령화, 수도권과 비수도권 중소기업 간 격차 심화 등 구조적 문제도 여전하다고 짚었다.
중기연 측은 "인력난 해소, 신기술 도입 촉진, 재무 안정성 확보를 위한 구체적 정책들이 조속히 시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