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이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릴 예정인 가운데, 양국이 '경제와 안보, 중국 대응'을 3대 축으로 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할 전망이라고 일본 언론들이 전망했다.
6일 NHK,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 일본 매체들에 따르면 양국은 정상회담 후 미·일 동맹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 발표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일 동맹을 인도·태평양 지역 평화와 안정의 기초로 규정하고 안보 분야 협력을 지속해 동맹의 억지력과 대처력을 더욱 강화한다는 내용으로 조율 중이다. 양 정상은 또 공동성명에 '미·일 관계의 황금 시대를 열겠다'고 명기하는 방안을 두고 조정에 들어갔다.
NHK는 또 미·일 양국 외교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이 참석하는 '2+2 회의' 조기 개최를 공동성명에 기술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닛케이는 "'2+2 회의'는 올해 상반기 개최를 위한 준비를 시작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공동성명에서 일본과 중국이 영유권 분쟁 중인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가 미·일 안전보장 조약의 적용 대상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힘에 의한 현상 변경 시도 반대와 대만해협의 평화·안정 중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닛케이는 미·일이 2021년 4월 발표한 공동성명에서도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을 강조한다"고 언급했다면서 양국이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도 중국과 대치하는 자세를 보이는 방안을 조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경제 분야에서는 자유롭고 공정한 경제 규칙에 기반한 무역 체제의 중요성을 지적할 전망이다. 또 미·일이 서로 투자를 하기 쉬운 환경 조성을 추진하는 방향성을 명기하고, 에너지와 첨단 기술 분야의 협력 방침도 담길 것이라고 닛케이는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의 첫 정상회담 의제와 관련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나 방위비 증액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이시바 총리가 일본 기업의 미국 내 고용 창출 및 방위비 증액 계획을 설명할 예정이라고 일본 언론들이 보도한 바 있다.
또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불허하고 트럼프 대통령도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한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문제,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확대 문제 등을 이시바 총리가 거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일 정상은 미국의 세계 패권 경쟁국인 중국 문제와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위협 문제 등에 대해서도 중점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일본 현지에서는 전망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에서 승리한 이후부터 '조기 정상회담'을 위해 매진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취임 이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에 이어 두 번째로 회담하는 외국 정상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