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여성 스포츠에서 트랜스젠더 운동선수와 관련된 행정명령에 서명하기 전에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EPA·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06/20250206113530226669.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여성 스포츠에서 트랜스젠더 운동선수와 관련된 행정명령에 서명하기 전에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소유·재개발 발언이 거센 후폭풍을 불러왔다. 중동·서방 국가들의 비판이 쇄도했고 미국 정치권 내 격한 공방전도 벌어졌다. 백악관과 정부 각료들은 ‘트럼프식 가자 구상’을 적극 옹호한 반면 미 민주당에서는 “반인륜적 인종 청소”라며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주장도 터져나왔다.
5일(현지시간) 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가자지구를 점령하고 팔레스타인인을 고향 밖으로 이주시키자는 요구에 강력 반대한다”고 밝혔다. 아랍권 22개국으로 구성된 아랍연맹(AL)은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이 “충격적”이라며 “국제법을 위반해 더 큰 불안정을 야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프랑스 외무부는 “가자지구가 제3자에 의해 통제돼서는 안 된다”고 했고, 아날레나 베어보크 독일 외무장관은 “가자지구 민간인들이 추방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브라질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말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어떤 형태의 인종 청소도 방지하는 게 필수적”이라며 사실상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에 반대의 입장을 나타냈다.
이에 백악관과 정부 외교안보 라인 인사들은 ‘트럼프 방어’를 위해 총출동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지구 주민들이 평화롭게 살기를 원하며 대담한 새 계획을 통해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레빗 대변인은 가자지구에 미군 투입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서는 “가자지구 지상에 군대를 투입하거나 미국의 세금을 쓰겠다는 의미가 아니었다”며 “지구상 최고의 협상가인 트럼프 대통령이 역내 파트너들과 협상을 타결하겠다는 얘기”라고 주장했다.
마이크 왈츠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에 대해 “대담하고 신선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라고 치켜세웠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은) 적대적인 조치로 의도된 것이 아니라 매우 관대한 조치이자 제안”이라며 “(가자지구) 재건 책임을 맡겠다는 제안”이라고 했다. 공화당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은 “가자지구는 매우 위험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그 지역의 평화를 보장하기 위해 과감하고 단호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 민주당은 ‘트럼프 탄핵’ 카드까지 꺼내들며 반발했다. 엘 그린 민주당 하원의원(텍사스)은 이날 “인종 청소는 반(反)인륜적”이라며 탄핵소추안 발의 계획을 공언했다. 하킴 제프리스 민주당 하원 원내대표도 “두 국가 해법(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국가의 병존)을 지지한다”며 강경 대응을 시사했다. 하원 외교위원회 간사인 그레고리 믹스 민주당 의원(뉴욕)은 트럼프 “전혀 심각하게 보지 않는다”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생각하지 않고 아무 말이나 한다”고 비난했다. 하원 정보위원회 간사인 짐 하임스 민주당 의원(코네티컷)은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의지에 반해 이동시키는 것은 제네바 협약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가자지구 내 팔레스타인 주민을 인근 국가로 이주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힌 뒤 “미국이 가자지구를 장악할 것”이라며 가자지구를 미국이 소유해 해안휴양도시로 개발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발언은 이스라엘과 함께 팔레스타인 국가 구성을 지지해 온 미국의 두 국가 해법 정책을 사실상 뒤집은 것으로 풀이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