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대(對)미국 무역흑자가 지난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다음 관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6일(현지시간) 미 상무부에 따르면 베트남의 지난해 대미 무역흑자는 약 1235억 달러(약 178조116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18.1% 증가한 것으로 베트남의 역대 최대 대미 흑자이다.
이에 베트남은 중국(2954억 달러), 유럽연합(2356억 달러), 멕시코(1718억 달러)의 뒤를 이어 4번째로 대미 무역 흑자를 기록한 국가가 됐다. 특히 증가율은 중국(5.8%), EU(12.9%), 멕시코(12.7%)를 제치고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미국의 무역 적자를 비난하며 동맹을 포함한 세계 각국이 미국을 이용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장기적으로 미국은 사실상 전 세계의 거의 모든 국가로부터 갈취당해 왔다"라면서 "우리는 거의 모든 국가와의 무역에서 적자를 보고 있는데 우리는 이를 바꿀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캐나다, 멕시코 상대로 보편 관세 부과를 발표했고 EU 상대로도 관세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무역 적자 국가를 대상으로 관세를 부과한 만큼 트럼프발 ‘관세 전쟁’의 다음 목표가 베트남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싱가포르 소재 싱크탱크 힌리히 재단의 데버라 엘름스 무역정책 전문가는 로이터에 "트럼프 대통령은 재선 이후 베트남에 대해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았지만 그는 여전히 무역 적자에 집착하고 있다"며 "베트남이 관세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베트남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중국에 본사를 둔 기업들이 생산 시설을 이전해 멕시코와 함께 수혜를 입은 나라 중 하나로 꼽힌다.
다만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멕시코·캐나다에 관세를 부과한 근거로 이민·마약 등 국가 안보 위협으로 제시한 만큼 베트남에도 동일한 근거를 적용하기 어렵다.
시장조사 기업 BMI의 시바 사야카 선임 애널리스트는 트럼프 행정부가 "베트남이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설득력 있게 주장하기는 (중국, 멕시코 등을 상대로 할 때보다) 더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베트남 정부는 액화천연가스(LNG) 미국산 물품 수입을 늘리고 미국산 농산물에 대한 수입 관세를 인하하는 등 트럼프 행정부와 타협을 모색하겠다는 입장이다. 베트남의 수출은 삼성전자, 인텔 등 다국적 기업들이 주도하기 때문에 줄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