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성준 정책위 의장은 6일 오후 국회에서 정책현안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민의힘이 입으로만 급하다고 하는 반도체특별법을 더는 미룰 수 없다"면서 "정말 시급하고 절실한 국가적 지원 문제는 여야 간 이견이 없으니 먼저 처리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어 "노사 간 입장 차이가 굉장히 큰 노동시간 적용 제외 문제는 별도로 논의를 지속해 합의되는 대로 처리하면 될 일"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3일 반도체특별법 도입 관련 당내 정책 토론회에서 "'몰아서 일하게 해주자는 게 왜 안 되냐'고 하면 할 말이 없다"며 전향적 입장을 보였던 민주당이 법안 분리 처리로 한 발 물러선 것은 '주 52시간제 적용 예외'를 두고 당내 반발이 강하기 때문이다. 지도부 차원에서는 '중도층 표심 잡기'라는 정무적 차원에서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을 수용할 수 있다고 하지만 그간 민주당이 지켜온 가치와는 반대되는 행보라는 지적이 많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인 한 의원은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반도체특별법에서 주 52시간제는 핵심이 아니다"며 "노동시간 예외가 자꾸 늘어난다는 걸 좋아할 사람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산자중기위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화이트칼라 이그젬프션'(고소득 전문직 근로시간 규율 적용 제외) 등 쟁점 조항을 제외한 나머지 반도체특별법을 우선 처리하는 데 이견이 없는 상태다. 근로시간을 조정하더라도 이는 특별법이 아닌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환노위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근로기준법 개정이 아닌 현행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 예외 제도'를 활용해도 충분하다는 입장을 고수 중이다.
진 정책위 의장은 "반도체특별법과 에너지 3법은 2월 국회 중에 처리해야 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며 "국가적 지원 내용을 담은 반도체특별법이 시급히 처리가 안 되는 상황이라면 국회법이 정한 패스트트랙을 지정해서 시한 내에 처리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