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 전쟁이 격화하지 않을 것이라는 낙관론에 힘이 실리면서 중국 증시 주요 지수 모두 1~2%대 상승세를 보였다.
6일 상하이종합지수는 41.17포인트(1.27%) 오른 3270.66, 선전성분지수는 229.41포인트(2.26%) 상승한 1만393.63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47.75포인트(1.26%), 57.82포인트(2.80%) 상승한 3842.83, 2120.75에 마감했다.
앞서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보편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은 즉각 보복 관세·자원 수출통제 등 맞대응 조치를 쏟아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대화에 나설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고, 중국은 보복 조치 수위를 조절하는 등 양국 모두 협상 의지를 보이고 있다.
다만 아직 불확실성이 해소된 것은 아니다. 시장은 계속 미중 무역 전쟁 추이를 지켜볼 전망이다. 프랑스 투자은행 나틱시스의 게리 응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아시아 시장은 미중 관세에 대한 이전의 불확실성에서 벗어나 잠시 숨을 고르고 있다"면서 "하지만 트럼프 요인은 계속해서 변동성의 주요 원인이 될 것이고, 미중 관계 전망은 계속해서 투자 흐름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딥시크발(發) 훈풍도 이어졌다. 안카이웨이(安凱微), 칭윈커지(青雲科技), 유커더(優刻得) 등 딥시크 관련주는 이날도 줄줄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중신궈지(SMIC)와 화훙반도체도 각각 3% 넘게 뛰었다.
중국의 ‘로봇 굴기’가 뚜렷한 성과를 내면서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주도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춘제 갈라쇼인 춘완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이 춤춘게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링윈광(淩雲光), 전위커지(震裕科技), 룽성커지(隆盛科技)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비야디(BYD)는 이날 10%(상한가) 상승하면서 시가총액이 하루 만에 약 822억 위안(약 16조3586억원) 불었다. 오는 10일 ‘스마트화 전략 발표회’를 열고 자율주행 기술을 소개하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다. 비야디는 작년 말 중국 전역에 적용이 가능한 내비게이션 기반 자율주행(NOA) 기능을 공식 출시했다.
한편 미중 무역 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로 이날 홍콩 항셍지수도 1.3% 뛴 2만865.78에 문을 닫았다. 비야디는 홍콩 증시에서도 10% 넘게 급등했다. SMIC와 화훙반도체도 각각 7% 넘게 올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