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설명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07/20250207203801621552.jpg)
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7일 진행된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설명회'에는 예상 참여인원인 300명보다 훨씬 많은 기업·기관·지자체 관계자들이 모였다. 좌석이 부족해 추가 좌석을 마련하고도 수십 명이 뒤에 서서 설명회를 지켜봐야 했다. SK텔레콤·KT·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IT 기업을 비롯해 아마존웹서비스(AWS)·마이크로소프트(MS) 등 해외 기업들도 참석했다. 설명회에서는 사업 주요 추진 내용과 신청 자격·절차, 전력계통영향평가 신청 방법 등을 안내하고 현장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오는 2027년 개소 예정인 국가 AI컴퓨팅 센터는 향후 국내 AI 인프라 경쟁력의 핵심으로 꼽힌다. 그래픽처리장치(GPU) 규모 1엑사플롭스(EF·초당 100경번 슈퍼컴퓨터 연산 속도)에 달하는 대규모 데이터센터로 구축된다. 그런 만큼 선정된 사업자는 대량으로 GPU를 구매하는 등 거액의 자금이 필요하다. 정부는 이를 위해 '반도체 설비투자지원 특별프로그램' 등 저리 대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데이터센터 구축의 필수 요건인 전력계통영향평가 절차를 빠르게 진행하며 앞으로 국가에서 AI컴퓨팅 자원이 필요한 사업은 센터를 우선 활용하기로 약속하는 등의 당근을 내세웠다. 센터 구축을 위한 특수목적법인(SPC)에는 정부와 정책금융기관에서 2030년까지 2000억원을 출자한다.
설명회 분위기에서 알 수 있듯 대다수 주요 국내외 IT기업들은 일단 사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다만 센터의 부지가 비수도권으로 제한됐다는 점이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수요처의 상당수가 수도권에 있고, 전반적인 관리 문제도 있어 데이터센터 기업들은 수도권 선호도가 높다. 실제 설명회에서는 반드시 부지가 비수도권만 가능하느냐는 질문이 나오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비수도권에 데이터센터를 지을 계획이 있거나 이미 수도권 밖 곳곳에 데이터센터를 보유한 기업이 사업 참여에 유리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전력계통영향평가에 걸리는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비슷한 지역에 있는 다른 비수도권 데이터센터의 인프라를 활용할 여지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SK텔레콤과 KT 등 이동통신사들이 사업에 관심이 특히 클 수 있다는 관측이다. 더욱이 SKT는 람다·펭귄솔루션즈, KT는 MS 등 글로벌 인프라·솔루션 기업과 이미 전략적 협업을 맺고 있기에 이들과 컨소시엄을 이뤄 참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센터를 지방에 추진하고 있거나 이미 가지고 있는 곳이 아니면 사업 참여가 쉽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