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손해보험 사진MG손해보험](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09/20250209140009391411.jpg)
두 달째 공회전 중인 MG손해보험 매각이 법정 다툼으로 번질 가능성이 커졌다. 매각 작업을 주관하는 예금보험공사가 이르면 이번 주 MG손보 노조에 대해 업무방해 가처분 신청을 예고하면서다. 법정 다툼으로 매각 작업 지체가 불가피해진 만큼 MG손보 청산이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지적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예금보험공사는 이르면 이번 주 MG손보 노조를 대상으로 업무방해 금지 가처분 신청을 한다. 지난 7일 메리츠화재의 MG손보에 대한 실사가 무산된 데 따른 대응 조치다.
예보 관계자는 “실사를 방해받은 것과 관련해 업무방해 금지 가처분 신청을 검토 중”이라며 “조만간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예보는 앞서 지난해 12월 9일 우선협상대상자로 메리츠화재를 선정했다. 하지만 MG손보 노조가 크게 반발하며 두 달째 실사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7일에도 메리츠화재가 MG손보 본사에 들어가 실사를 시작하려 했으나 노조 측이 끝내 반대하며 메리츠화재가 철수한 상태다.
노조가 메리츠화재에 인수되는 것을 반대하고 나선 건 고용 승계 때문이다. 메리츠화재가 법적으로 고용 승계 의무가 없는 자산부채이전(P&A) 방식을 통한 매각을 택했기 때문이다. 이에 고용 승계부터 보장하라며 메리츠화재 측 실사를 두 달째 막고 있는 것이다.
이에 매각이 진척되지 않으면서 예보는 MG손보 청산까지 고려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MG손보를 인수할 새 매수자를 찾기는 사실상 어렵기 때문이다. MG손보는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자본금이 -184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다.
앞서 수의계약 전환 후에도 최종 인수 제안서를 제출한 곳은 메리츠화재와 사모펀드(PEF) 데일리파트너스뿐이었다. MG손보는 2022년 4월 부실금융기관으로 결정된 이후 진행한 세 차례 공개 매각 모두 불발되며 지난해 수의계약 방식으로 전환됐다.
앞서 수의계약 전환 후에도 최종 인수 제안서를 제출한 곳은 메리츠화재와 사모펀드(PEF) 데일리파트너스뿐이었다. MG손보는 2022년 4월 부실금융기관으로 결정된 이후 진행한 세 차례 공개 매각 모두 불발되며 지난해 수의계약 방식으로 전환됐다.
김병환 금융위원장 역시 “재입찰까지 포함하면 네 차례에 걸친 매각 과정에서 원매자가 굉장히 제한적이라는 게 확인됐다”며 “선택지가 별로 남아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청산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당장에 법정 다툼이 예고되며 청산 가능성은 더 커지게 됐다. 가처분 신청에 대한 인용 여부는 통상 2~4주 걸려 매각이 더 지체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노조 또한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관련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청산이 결정되면 임직원 600여 명은 모두 일자리를 잃게 된다. 또 MG손보와 보험 계약을 맺은 소비자 피해도 불가피하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MG손보 보험 계약자 수는 124만명, 보험 계약 건수는 156만건에 달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난 7일 오후에 실사를 시작하려 했는데 노조가 다시 메리츠 결사반대를 외치며 판이 뒤집혔다”며 “협의는 계속하겠지만 청산 가능성은 더 높아진 셈”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