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국내 증시, 트럼프 관세 전쟁 예고에 널뛰기… 관세폭탄 vs 반사이익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홍승우 기자
입력 2025-02-10 18:5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철강제품 부과 소식에 포스코홀딩스 등 대부분 약세… 원자재값도↑

  • 아이폰 중국 내 생산으로 '애플' 타격 불가피… 삼성전자 수혜 기대감

그래픽김효곤 기자
[그래픽=김효곤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대적인 ‘관세전쟁’을 예고한 가운데 국내 증시가 출렁였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편적 관세 대상국에 우리나라도 포함되면서 관세 리스크가 우려되는 업종은 약세를 보였다. 반면 관세 리스크에서 비교적 자유롭거나 반사이익이 기대되는 업종은 강세를 나타냈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0.65포인트(0.03%) 내린 2521.27에 거래를 마쳤다. 미국발 관세 우려로 하락 출발했지만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한때 상승 전환하기도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소식에 포스코홀딩스(-0.84%), 고려제강(-0.72%), 대한제강(-3.91%), 동국제강(-3.77%), 세아베스틸지주(-3.66%), 한국철강(-1.27%), 현대제철(-2.03%) 등 철강 주요 종목은 대부분 약세를 보였다.
 
관세 리스크가 가시화하자 원자재 가격도 상승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런던금속거래소(LME)의 3개월물 알루미늄은 전 거래일 대비 0.3% 상승한 톤(t)당 2635달러를 기록했다. 상하이 선물거래소(SHFE)의 알루미늄 가격도 0.2% 상승한 t당 2809.71달러로 마감했다.
 
또한 반도체, 자동차 등 수출 의존도가 높은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 대한 하방 압력도 높아졌다. SK하이닉스(-2.41%), 삼성바이오로직스(-2.59%), 기아(-1.97%), KB금융(-1.28%) 등이 하락세를 보였다. 다만 이번 조치가 한국이 아닌 중국 기업을 겨냥한 조치로 해석되며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종목도 있다.
 
삼성전자는 휴대전화 생산거점을 주로 베트남, 인도 등에 두고 있다. 아이폰을 중국에서 80% 이상 생산하는 애플이 타격을 받는 만큼 상대적으로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삼성전자(3.54%)와 삼성전자우(2.60%)는 2~3%대 강세를 나타냈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야기한 관세 불확실성은 진짜 관세전쟁보다는 협상카드라는 인식”이라며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코스피 하락 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연초 이후 2500 하향 돌파에도 코스피 반발 매수세가 지속되고, 업종별·종목별 순환매가 지속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코스피와 달리 코스닥은 전장 대비 6.77포인트(0.91%) 오른 749.67에 장을 종료했다. 개장 직후 하락 출발했지만 대내외 환경과 별개로 종목 장세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에서는 △리노공업(5.10%) △휴젤(2.99%) 등이 강세를 나타냈으며 △HLB(-1.70%) △레인보우로보틱스(-8.16%) △리가켐바이오(-2.12%) △삼천당제약(-6.82%) △클래시스(-1.14%) 등이 약세를 보였다.
 
한편 국내 증시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자심리는 위축된 모습이다. 코스피에서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719억원, 2787억원어치 순매도했으며 기관은 2647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이어 코스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085억원, 20억원어치 순매도한 반면 개인은 1332억원어치 순매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