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곤 동반성장위원장가운데은 11일 사진동반성장위원회](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1/20250211115933188198.jpg)
이달곤 동반성장위원장(가운데)이 11일 열린 '제82차 동반성장위원회 본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동반성장위원회]
동반성장위원회가 동반성장 평가방식을 전면 개편하고 '동반성장 2.0'을 연내 추진한다.
동반위는 제82차 동반성장위원회 본회의를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동반위는 이날 올해 동반위 업무 추진계획과 중소기업 적합업종 추진현황 등 안건을 보고하고 심의·의결했다.
동반위는 동반성장 2.0으로 새로운 상생협력 문화 확산을 위해 △동반성장 평가 개편 및 이슈 업종 확대 △자율△갈등조정 기능 강화를 통한 신갈등 대응 △공급망 ESG 역량 지원 확대 및 ESG 정책 구심점 역할 수행 △지역·중소·소상공인 동반성장 기업 생태계 기반 확충 민간 주도 동반성장 문화 공진화 촉진 등을 전략과제로 세웠다. 동반성장지수 개편, 플랫폼·금융권·지역 중심의 동반성장 확대 등 동반성장 2.0을 마련해 동반위 역할과 위상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동반성장지수는 평가기업의 지속 확대(56→241개사), 이커머스 산업의 급성장 등 변화 필요성에 맞춰 평가 체계를 전면 개편한다. 이를 위해 외부 전문기관을 통한 용역, 공청회 등을 진행하고 평가방식, 업종분석, 지표개편 등 기업의 자발적 평가 참여와 실질적 동반성장 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평가 방식 개편을 검토한다.
배달플랫폼과 소상공인 간 동반성장 요구가 확산되면서 배달플랫폼 관련 3사(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의 입점업체(음식점 등)를 대상으로 심층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는 별도 공개한다.
업종 간 갈등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갈등조정 대상 범위를 업종 내-업종 간 사업영역, 대기업-중소기업 간 갈등으로 한정하지 않고 조정 범위를 확대해 동반위의 갈등조정 기능을 강화한다.
동반위는 두부 제조업을 생계형 적합업종 요건에 부합해 추천하기로 의결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소상공인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소상공인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 여부를 정할 예정이다.
이달곤 동반위 위원장은 "산업구조 및 경제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민간 주도의 동반성장 문화확산과 지역 중심의 동반성장 활성화를 위해 동반위 운영체계를 재정립하고 대·중소기업간 관계 변화에 따른 새로운 동반성장 방향 설정을 위한 동반성장 2.0을 연내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