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뉴욕사무소는 11일 보고서에서 IB 10곳 중 5곳이 미 연준의 올해 금리인하 횟수를 0~1회로 전망했다고 밝혔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와 도이치뱅크는 지난 1월에 이어 이달에도 연내 금리 동결을 예상했고 노무라가 1월 1회를 이달 동결로 변경했다. 모건스탠리는 2회에서 1회로 낮추고 바클리가 1회 전망을 유지하면서 모두 5곳의 IB가 0~1회를 예상하는 상황이다. 이외 씨티 5회, TD 4회, 골드만삭스 2회, JP 모건 2회, 웰스파고 2회로 집계됐다.
선물시장에 반영된 미 연준의 기준금리 전망치도 다소 높아졌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금리 전망치는 지난 1월 29일 기준 연 4.08%에서 불과 일주일여 뒤인 이달 7일 4.18%로 0.10%포인트 올랐다. 현재 연 4.50%보다 0.32%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다만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이 다소 비둘기파적으로 해석되면서 금융시장 가격 변수에 큰 영향은 없었다"고 덧붙였다.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 기류에 오는 25일 올해 두 번째 기준금리 결정을 앞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6일 블룸버그와 도쿄 인터뷰에서 2월 통화정책방향과 관련해 "이번 금통위에서 인하가 불가피한 것은 아니다"라며 금리 인하 기대감을 일축했다. 이 총재는 "재정적 경기 부양이 필요하다"며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필요성을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