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로이터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2/20250212082749298745.jpg)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11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금리 인하 기조를 소화하며 큰 폭의 움직임을 자제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3.24포인트(0.28%) 오른 4만4593.65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전장보다 2.06포인트(0.03%) 상승한 6068.50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70.41포인트(0.36%) 내린 1만9643.86에 장을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저녁 철강·알루미늄 수입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과 관련해 크게 우려하고 있지 않는 모양새다. 멕시코와 캐나다에 부과한 25% 관세도 한 달간 유예됐지만 실제 부과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는 분위기다. 미 자동차 제조업체 주가도 이날 안정세를 보였다. 제너럴 모터스는 0.28%, 스텔란티스는 0.93% 올랐다.
이날은 파월 의장의 발언에 시장의 이목이 쏠렸지만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전한 입장과 거의 차이가 없어 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다. 그는 미 상원 의회의 은행, 주택, 도시문제 위원회에 출석해 “(통화)정책 기조를 조정하기 위해 서두를 필요가 없다”며 “우리의 정책은 이전보다 상당히 덜 제약적이고 경제는 여전히 강력하다”고 말했다.
이어 파월 의장은 “정책 제약을 너무 빠르게, 또는 너무 많이 줄이면 인플레이션 진전을 방해할 수 있다”며 “동시에 정책 제약을 너무 느리게 또는 너무 적게 줄이면 경제 활동과 고용이 지나치게 약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원론적인 입장을 내비친 것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챗GPT 개발사 오픈AI 인수를 시도 중이라는 소식 등이 전해지면서 이날 테슬라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테슬라 주가는 전날보다 6.34% 내린 328.50달러에 마감했다. 지난 5일부터 닷새 연속 하락세다. 머스크 CEO의 오픈AI 인수 제안이 투자자들에게 과거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하던 시절을 떠올리게 하며 불안감을 더하고 있다. 오펜하이머의 콜린 러쉬 분석가는 “머스크 CEO가 주도한 오픈AI 입찰은 테슬라가 직면한 과제에서 주의를 돌리는 차원일 것”이라고 봤다.
애플은 알리바바와 손잡고 중국 내 아이폰 사용자를 위한 인공지능(AI) 기능을 개발한다는 더 인포매이션 보도 이후 2.18% 올랐다. 메타는 0.33% 소폭 상승했고, 이외 엔비디아(-0.58%), 마이크로소프트(-0.19%), 아마존(-0.16%), 알파벳(-0.6%) 등 소폭 내렸다.
코카콜라는 지난해 4분기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 발표로 4.73% 올랐다. 다음 달 12일 철강·알루미늄 관세 25% 부과 조치 발표로 US스틸은 1.45%, 알코아는 0.68% 상승했다. 미국 자동차 업체 포드는 0.32% 내렸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3월 기준금리가 25bp(1bp=0.01%포인트) 인하될 확률은 마감 무렵 4.5%로 내려갔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21포인트(1.33%) 오른 16.02를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