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위메프 본사 사무실이 비어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2/20250212113055836824.png)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와 관련된 업체가 절반 이상이 정부의 환불 조정안을 받아들이지 않아 소비자들 피해가 장기화될 조짐이다.
11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관련 사업자 122곳 중 48곳만 여행·숙박·항공 상품에 대한 환불 조정안을 받아들여 소비자 1745명이 총 16억원 규모의 금액을 보상 받았다. 티몬과 위메프에 더해 여행사 등 판매사 106개 중 42개, PG사(전자결제대행사) 14개 중 39.3%가량만 수락한 것이다. 대형 여행사와 다수의 PG사가 조정결정을 불수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비자원은 작년 12월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해 티몬과 위메프가 결제 대금의 100%를 환급하고, 판매사들은 결제 대금의 최대 90%를, PG사들은 결제 대금의 최대 30%를 연대해 환급하라고 결정한 바 있다.
16억원가량은 여행·숙박·항공 상품 소비자 피해 회복엔 크게 부족한 금액이다. 당초 미정산 사태가 터져 관련 상품 소비자들이 돌려받지 못한 금액은 13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티몬과 위메프는 수락 의사를 표해 환불에 동의했지만, 현재 법원의 회생 절차를 밟고 있어 보상 능력이 부족하므로 실질적인 환불은 어려워 상황이다.
조정이 불성립된 신청인들은 집단소송을 신청할 수 있다. 소비자원은 조정이 불성립된 신청인들의 권리구제를 위해 집단사건 소비자 소송지원을 추진한다. 오는 17일부터 한 달간 지원 접수를 받는다.
아울러 여행·숙박·항공권 분쟁 조정과 별개로 진행되는 해피머니상품권 집단분쟁조정에도 소비자 1만2000여 명이 전날 참여했다. 티몬·위메프에서 판매한 상품권과 해피머니 구매 후 환불 받지 못한 소비자들이며, 역대 집단 분쟁 조정 사건 가운데 가장 수가 많다.
회생절차에 돌입한 티메프는 인가 전 인수합병(M&A) 작업을 진행 중이다. 국내 기업과의 매각 협상에 진전을 보이며 빠른 시일 내 우선협상대상자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티메프 매각 주간사인 EY한영회계법인은 두 곳 중 한 곳이라도 매각해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입장이다.
이커머스업계는 최소 5월까지는 이러한 피해 사태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티메프는 4월 말까지 매각을 완료한다는 목표인데 이어 한 달 단위로 회생계획안 제출 연장 신청을 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티몬과 위메프 매각에 대한 시장 반응이 좋지 않다고 알려졌다"며 "티메프는 현재 영업이익이 없어 미정산 피해자, 피해 셀러 체권 변제를 위해서는 매각이 필수적이며, 이후 회생 계획안도 만들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