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 사진로이터·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2/20250212144021651720.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모든 제품에 10% 관세 부과한 것에 맞서 중국도 석탄, 천연가스 등 일부 미국산 제품에 10~15% 관세를 물리는 보복 관세로 대응하며 미·중 무역전쟁이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앞서 캐나다·멕시코처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트럼프 대통령과 즉각 협상할 것이란 시장의 예상도 빗나갔다. 트럼프 1기를 이미 겪어본 중국으로선 트럼프 압박에 휘둘리지 않고 단호히 대응하면서 미국과의 무역전쟁을 장기전으로 치를 준비를 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무엇보다 중국은 그간 트럼프 취임후 무역전쟁 발발 가능성에 충분히 대비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물린 10% 관세는 아직까지 통제 가능한 범위라고 판단한 것으로 읽힌다. 글로벌 투자분석업체 게이브칼 드라고노믹스에 따르면 10% 관세 부과로 미국의 중국 수입품에 대한 평균 관세율은 2023년 기준 약 14.5%였던 것이 24.5%로 올라갔다.
사실 중국 기업들은 이미 트럼프 관세폭탄에 대비해 미국을 대체할 국가를 모색해 신 시장을 개척하고, 주변국과 통상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중국만 정조준한 1기때와 달리 트럼프가 캐나다, 멕시코 등 동맹국에도 무차별 관세 폭탄을 터뜨리며 중국이 협력할 수 있는 우호국도 더 많아졌다.
중국의 보복관세 발효로 미·중 무역전쟁 2라운드가 발발한 지난 10일, 중국 상무부 산하 대외무역투자 촉진 기구인 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는 페트로차이나, 시노펙 등 중국기업 대표 30여명을 이끌고 3박4일 일정으로 카자흐스탄을 방문해 경제무역 교류회를 개최하고 대규모 구매 계약도 체결했다고 중국 인민망은 보도했다. CCPIT는 올해 더 많은 중국기업 대표단 이끌고 각국을 방문해 국제 통상 협력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중국은 아울러 잠재적으로 타깃으로 삼을 미국 빅테크(대형 기술기업) ‘블랙리스트’도 마련하고 있다. 최근 엔비디아·구글에 대한 반독점법 위반 조사에 착수한 중국은 향후 인텔·애플·브로드컴·시놉시스 등 미국 하이테크 기업들이 중국의 반독점법 조사 대상에 오를 수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보도했다. 향후 미국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 기술 기업을 압박하는 전략을 구사하는 것. 이밖에 전략물자에 대한 수출 통제, 신뢰할 수 없는 실체 명단(블랙리스트) 등도 중국이 마련해 놓은 대응 카드다.
중국 경제도 올 들어 출발이 나쁘지 않아 보인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월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0.5% 상승하며 5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장기 침체 양상을 보인 부동산 시장도 올 들어 조금씩 반등 기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중국은 트럼프 행정부를 자극해 미국이 대중 관세를 더 물리는 등 미국과 갈등이 더 고조되는 것은 최대한 피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이다.
뤄밍후이 싱가포르 난양이공대 공공정책 및 국제문제 교수는 12일 연합조보에 “중국의 현재까지 대응은 '온건하고 절제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트럼프의 전략과 전술을 이미 잘 아는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상황 변화에 대비해왔다”며 “중국이 미국에 쓸 수 있는 카드가 아직 많이 남았지만, 트럼프의 대중 10% 관세는 여전히 통제 가능하다고 여기는 데다가, 트럼프의 추가 보복을 피하기 위해 과도하게 반응하길 꺼리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일각에선 중국 지도부가 오는 3월 연례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서 거시경제 목표를 설정하고 내부적으로 전략을 수렴해 철저히 준비한 후 미중 정상 회담을 비롯한 고위급 소통에 나설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최근 ‘중국이 트럼프와의 무역전쟁에서 양보를 서두르지 않는 이유’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중국으로선 구체적인 상호윈윈 제안 없이는 미중간 협상에 임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중국은 물밑 대화를 통해 민감한 문제를 처리하는 방식을 선호한다고 짚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