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대 물가 온도차] 채소 이어 가공식품도 들썩...정부는 업계 '팔 비틀기'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권성진 기자
입력 2025-02-14 05: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식품기업, 고환율·원자재 상승으로 수익성 악화 고충 토로

  • 전문가 "구시대적 발상…시징 원리와 맞지 않아"

 
미령핑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 11일 주요 식품기업 임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농림축산식품부]
채소 등 신선식품에 이어 가공식품 물가까지 큰 폭으로 오르며 민생고가 가중되는 상황이다. 식품업계가 고환율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고충을 토로하지만 정부는 대안 없이 '인상 자제'만 요구하고 있다.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가공식품 물가지수는 122.03(2020년=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다. 지난해 1월(3.2%)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2%)을 상회하는 수치다. 

오징어채가 1년 전보다 22.9% 급등했고 맛김(22.1%), 김치(17.5%), 시리얼(14.7%), 초콜릿(11.2%) 등 가격도 크게 뛰었다. 요리할 때 쓰는 조미료와 유지류 참기름(8.9%), 간장(8.8%), 식용유(7.8%) 등도 7~8%대 상승률을 보였다.

식품·유통업계에서도 줄줄이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 파리바게뜨는 지난 10일부터 빵과 케이크 121종 가격을 평균 5.9% 인상했다. 롯데웰푸드는 오는 17일부터 빼빼로 등 과자와 아이스크림 26종 가격을 평균 9.5% 올릴 예정이다. 빙그레는 다음 달부터 커피와 아이스크림 등 22종 판매가를 평균 14.7% 인상한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카카오 가격이 2년 동안 5배 가까이 올랐고 전기료 등 각종 부대 비용이 뛰면서 지난해 수익성이 크게 악화했다"며 가격 인상 배경을 설명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당장 가격 인상 계획은 없지만 원가 상승 부담을 크게 느끼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릴레이 가격 인상이 물가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정부는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하고 나섰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지난 11일 17개 주요 식품기업 관계자 간담회에서 "물가 안정은 내수 회복과 민생 안정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생산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가격 인상 요인을 최소화해 달라"고 강조했다. 

기업들은 정부 메시지를 사실상 압박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정부는 지난해에도 가격을 유지하거나 올리면서 제품 용량을 줄이는 이른바 '슈링크플레이션' 관련 규제를 도입하는 등 물가가 들썩일 때마다 업계에 대한 가격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팔 비틀기식 관치에서 탈피해 업계 고충을 완화할 대응책 마련에 주력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가 간담회에서 기업을 겁주고 가격 조정을 억제하는 것은 구시대적인 발상이고 지속 가능하지도 않다"며 "원가 상승으로 비용이 올라가는데 기업이 계속 손해를 보라는 얘기"라고 비판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도 "정국 불안으로 생긴 고환율 상황을 기업에 떠넘기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며 "차라리 환율 대책을 정교하게 세우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