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3/20250213162332406588.jpg)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금융감독원이 카드배송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사기와 관련해 소비자경보 단계를 ‘주의’에서 ‘경고’로 상향 조정했다.
금감원은 보이스피싱 피해사례의 주요 특징과 수법을 분석한 결과를 13일 공개했다. 분석 결과 최근 가짜 카드배송으로 시작되는 기관 사칭형 수법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보이스피싱범들은 최근 카드 배송원을 사칭해 전화하거나 위조된 카드를 직접 배송하러 방문하는 등의 방식으로 범행을 시작한다. 피해자들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가 발급됐다고 오인하게 만들어 카드사 고객센터로 위장한 공범에게 연락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가짜 고객센터는 개인정보 유출로 명의가 도용됐다면서 보안점검, 악성 애플리케이션(앱) 검사, 사고접수 등을 명목으로 앱 설치를 유도한다. 인터넷 주소(URL)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발송해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하던 과거와는 달리 공식 앱스토어에 등록된 원격제어 앱을 다운받도록 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원격제어 앱에 이어 악성 앱이 설치되면 금감원·검찰청의 공식번호로 전화해도 사기범들에게 연결돼 의심하기가 더욱 어렵다”며 “이후 사기범들이 금감원 직원이나 검사를 사칭하면서 피해자의 심리를 지배하고 철저히 고립시킨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금감원은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가 배송된다는 연락을 받으면 배송직원이 알려준 번호가 아닌 카드사 공식번호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금융회사와 공공기관은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이나 검찰 등 국가기관은 절대로 직접 자금이체를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를 요구하는 경우 사기임을 인지해야 한다. 또한 사기범에게 속아 금전을 이체했다면 최대한 빨리 경찰이나 금융회사로 연락해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통신사들이 제공하는 ‘인공지능(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범정부 태스크 포스(TF) 등을 통해 관계부처와 긴밀히 공조해 보이스피싱 근원적 차단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며 “소비자가 원하지 않는 비대면 계좌개설, 오픈뱅킹 등을 사전 차단하는 서비스를 구축하고 금융사 현장 대응 능력을 계속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보이스피싱 피해사례의 주요 특징과 수법을 분석한 결과를 13일 공개했다. 분석 결과 최근 가짜 카드배송으로 시작되는 기관 사칭형 수법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보이스피싱범들은 최근 카드 배송원을 사칭해 전화하거나 위조된 카드를 직접 배송하러 방문하는 등의 방식으로 범행을 시작한다. 피해자들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가 발급됐다고 오인하게 만들어 카드사 고객센터로 위장한 공범에게 연락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가짜 고객센터는 개인정보 유출로 명의가 도용됐다면서 보안점검, 악성 애플리케이션(앱) 검사, 사고접수 등을 명목으로 앱 설치를 유도한다. 인터넷 주소(URL)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발송해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하던 과거와는 달리 공식 앱스토어에 등록된 원격제어 앱을 다운받도록 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 금감원은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가 배송된다는 연락을 받으면 배송직원이 알려준 번호가 아닌 카드사 공식번호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금융회사와 공공기관은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이나 검찰 등 국가기관은 절대로 직접 자금이체를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를 요구하는 경우 사기임을 인지해야 한다. 또한 사기범에게 속아 금전을 이체했다면 최대한 빨리 경찰이나 금융회사로 연락해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통신사들이 제공하는 ‘인공지능(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범정부 태스크 포스(TF) 등을 통해 관계부처와 긴밀히 공조해 보이스피싱 근원적 차단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며 “소비자가 원하지 않는 비대면 계좌개설, 오픈뱅킹 등을 사전 차단하는 서비스를 구축하고 금융사 현장 대응 능력을 계속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