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얼빈역 안중근 의사 기념관 외부 전경 사진서경덕 교수](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4/20250214083753892745.jpg)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중국 하얼빈 '안중근 의사 기념관'에 한국어 오류가 많다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14일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현장에서 응원을 펼친 관광객들이 하얼빈역에 위치한 안중근 의사 기념관에 다녀온 후 많은 제보를 해 줘서 알게 됐다"며 이같이 전했다.
안중근 의사 기념관 내 전시 설명은 중국어와 한국어로 되어 있는데 한국어 오류가 많이 발견된 것이다. '진감하다' 등 일반적인 한국어로 잘 사용하지 않는 단어들도 여러 개 보였고, 띄어쓰기 역시 잘못된 것이 많았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5년 전 기념관을 방문했을 때도 이런 오류에 대해 현지 직원에게 강하게 항의를 했는데 전혀 고쳐지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기념관의 관리 및 감독은 중국 측에서 하고 있지만, 국가보훈부 등 관련 정부 부처에서 중국 측에 항의한다면 충분히 시정될 수 있는 부분이라 여겨진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처럼 해외에 남아있는 대한민국 독립운동 유적지의 보존 상황이 좋은 편은 아니다"라며 "우리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방문만이 해외에 남아있는 독립운동 유적지를 보존할 수 있는 가장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외치고'가 '웨치고'로 잘못 표기된 안중근 의사 기념관 한국어 설명문 [사진=연합뉴스]
서 교수는 14일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현장에서 응원을 펼친 관광객들이 하얼빈역에 위치한 안중근 의사 기념관에 다녀온 후 많은 제보를 해 줘서 알게 됐다"며 이같이 전했다.
안중근 의사 기념관 내 전시 설명은 중국어와 한국어로 되어 있는데 한국어 오류가 많이 발견된 것이다. '진감하다' 등 일반적인 한국어로 잘 사용하지 않는 단어들도 여러 개 보였고, 띄어쓰기 역시 잘못된 것이 많았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5년 전 기념관을 방문했을 때도 이런 오류에 대해 현지 직원에게 강하게 항의를 했는데 전혀 고쳐지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기념관의 관리 및 감독은 중국 측에서 하고 있지만, 국가보훈부 등 관련 정부 부처에서 중국 측에 항의한다면 충분히 시정될 수 있는 부분이라 여겨진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처럼 해외에 남아있는 대한민국 독립운동 유적지의 보존 상황이 좋은 편은 아니다"라며 "우리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방문만이 해외에 남아있는 독립운동 유적지를 보존할 수 있는 가장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외치고가 웨치고로 잘못 표기된 안중근 의사 기념관 한국어 설명문 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4/20250214084014839188.jpg)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