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4/20250214171946466188.jpg)
[연합뉴스]
원·달러 환율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발언에 따라 크게 출렁이는 가운데 추후 관세 부과 대상이 확대되면 미 달러화 강세 압력이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가 4월 초로 유예되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이 커지면서 위험자산 선호가 커져 달러화가 하락했지만 언제든지 다시 강달러 압력이 심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14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미 달러화가 당분간 현재와 비슷한 높은 수준에서 강세 압력을 받는 가운데 유로화는 약세, 일본 엔화는 보합, 중국 위안화는 조만간 약세 가속화가 예상된다.
최근 미국 예외주의가 이어지면서 강달러 국면이 장기화된 가운데 외환시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트럼프 신정부발(發) 관세 위험이 현실화하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DXY)는 2022년 9월 정점을 통과한 이후로 양호한 회복탄력성에 의해 약세 폭이 제한되면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미국 대선이 임박한 2024년 10월부터 강세를 재개했다. 트럼프 출범 전후로 110에 근접했던 달러인덱스는 이날 107 초반 수준이다.
국금센터는 앞으로 미국의 실효관세율이 높아질 때마다 교역조건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강달러 압력이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미국에 대한 성장둔화 우려가 커지거나 상대국의 재정정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강달러 압력은 일부 상쇄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상원 외환분석부 부장은 "환율은 관세 인상의 1차 충격을 흡수하는 주요 수단으로 작용하는데 미국의 관세 부과 혹은 유예 시 상대국 통화는 자동반사적으로 약·강세 반응을 나타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무역갈등이 격화할 경우엔 위험회피 성향을 자극하는 만큼 강달러 압력이 세질 것으로 보인다. 공급 충격은 물가 상승 요인이자 성장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미국 이외 상대국은 재정·통화정책으로 성장 하방 위험에 대응할 수밖에 없는데 금리 인하에 대한 의존도가 큰 국가일수록 해당 국가의 통화가 약세일 수밖에 없다고 국금센터는 해석했다.
달러화는 미국 실효관세율 상승과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 금리 인하 기대 후퇴에 기반한 강달러 여건이 지속될 전망이다. 단 지난해처럼 고용둔화를 비롯한 성장둔화 우려가 심화되면 강세 폭이 제한될 수 있다.
유로화는 미국의 대(對) 유럽연합(EU) 관세 위협이 본격화되는 시점부터 통상환경 악화에 따른 유로존 성장 둔화 우려가 크다. 유럽 중앙은행(ECB)가 적극적으로 완화적 통화정책을 운용한다면 약세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일본 엔화는 상대적으로 약세 폭이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 선진국 중 유일하게 금리를 인상하고 있는 데다가 미국발 관세 위험에서도 상대적으로 덜 노출되면서 안전통화로 인식되고 있어서다.
최근 원화와 동조화 현상이 짙은 중국 위안화는 미국이 대중 관세를 인상했는 데도 당분간 완만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추후 미·중 협상 난항 등으로 갈등이 한층 격화되는 시점엔 약세 흐름이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 부장은 "미국발 관세 충격에서 발생하는 환율 영향이 경로별·통화별로 상충되면서 당분간 혼조 양상이 전개될 수 있으나 추후 관세 부과 대상이 확대됨에 따라 미 달러화 강세 압력이 강화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가 4월 초로 유예되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이 커지면서 위험자산 선호가 커져 달러화가 하락했지만 언제든지 다시 강달러 압력이 심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14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미 달러화가 당분간 현재와 비슷한 높은 수준에서 강세 압력을 받는 가운데 유로화는 약세, 일본 엔화는 보합, 중국 위안화는 조만간 약세 가속화가 예상된다.
최근 미국 예외주의가 이어지면서 강달러 국면이 장기화된 가운데 외환시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트럼프 신정부발(發) 관세 위험이 현실화하고 있다.
국금센터는 앞으로 미국의 실효관세율이 높아질 때마다 교역조건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강달러 압력이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미국에 대한 성장둔화 우려가 커지거나 상대국의 재정정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강달러 압력은 일부 상쇄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상원 외환분석부 부장은 "환율은 관세 인상의 1차 충격을 흡수하는 주요 수단으로 작용하는데 미국의 관세 부과 혹은 유예 시 상대국 통화는 자동반사적으로 약·강세 반응을 나타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무역갈등이 격화할 경우엔 위험회피 성향을 자극하는 만큼 강달러 압력이 세질 것으로 보인다. 공급 충격은 물가 상승 요인이자 성장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미국 이외 상대국은 재정·통화정책으로 성장 하방 위험에 대응할 수밖에 없는데 금리 인하에 대한 의존도가 큰 국가일수록 해당 국가의 통화가 약세일 수밖에 없다고 국금센터는 해석했다.
달러화는 미국 실효관세율 상승과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 금리 인하 기대 후퇴에 기반한 강달러 여건이 지속될 전망이다. 단 지난해처럼 고용둔화를 비롯한 성장둔화 우려가 심화되면 강세 폭이 제한될 수 있다.
유로화는 미국의 대(對) 유럽연합(EU) 관세 위협이 본격화되는 시점부터 통상환경 악화에 따른 유로존 성장 둔화 우려가 크다. 유럽 중앙은행(ECB)가 적극적으로 완화적 통화정책을 운용한다면 약세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일본 엔화는 상대적으로 약세 폭이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 선진국 중 유일하게 금리를 인상하고 있는 데다가 미국발 관세 위험에서도 상대적으로 덜 노출되면서 안전통화로 인식되고 있어서다.
최근 원화와 동조화 현상이 짙은 중국 위안화는 미국이 대중 관세를 인상했는 데도 당분간 완만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추후 미·중 협상 난항 등으로 갈등이 한층 격화되는 시점엔 약세 흐름이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 부장은 "미국발 관세 충격에서 발생하는 환율 영향이 경로별·통화별로 상충되면서 당분간 혼조 양상이 전개될 수 있으나 추후 관세 부과 대상이 확대됨에 따라 미 달러화 강세 압력이 강화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