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부터 결산배당에 이어 분기배당도 ‘배당액 확정’ 이후 배당받을 주주를 결정하는 ‘배당기준일’을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분기배당 시에도 배당액을 확인한 뒤 지정된 배당기준일까지 투자의사결정이 가능하다.
17일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배당기준일을 3월‧6월‧9월말로 규정한 부분이 삭제되면서, 이같은 투자의사결정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개선에 따라 상법 유권해석 및 기업별 정관개정을 통해 주주총회 의결권기준일과 배당기준일을 분리하고, 배당기준일을 주총 이후로 지정해야 한다.
투자자들은 기업이 주주총회에서 정한 배당금액을 보고 지정된 배당기준일까지 투자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됐다.
배당절차 개선방안에 따라 지난해 말 기준 유가증권‧코스닥시장 상장사의 43.2%(1008개사)가 정관을 개정했고, 그중 109개의 상장사가 변경된 절차에 따라 배당을 실시했다.
분기배당은 지난해 말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배당기준일을 3월‧6월‧9월말로 규정한 부분이 삭제돼 올해부터 분기배당도 이사회 결의로 배당액을 확정, 배당받을 주주를 결정할 수 있게 됐다.

앞서 금융위원회·법무부 등은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한 배당절차 개선방안을 마련‧발표했다.
상장회사를 대상으로 필요한 조치사항도 안내됐다.
상장회사는 배당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분기배당 기준일을 이사회 결의로 정할 수 있도록 정관을 개정해야 한다.
지난해 이미 결산배당에 관한 정관변경을 한 상장회사도 올해 분기배당을 하기 위해서는 오는 정기 주주총회에서 분기배당 관련 개정사항을 정관에 반영해야 한다.
이미 정관을 개정한 상장회사는 투자자들이 관련 사실을 파악할 수 있도록 배당정책을 구체화하여 기재해야 한다.
현행 정관상 배당액 결정기관,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여부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한 사항과, 사업보고서 작성대상 기간 중 결산배당 실시여부, 배당액 확정일 및 배당기준일 설정 현황, 배당 예측가능성 제공 여부 등을 지정된 서식에 따라 기재해야 한다.
배당절차 개선 후 다수의 상장회사들이 정관을 개정하여 의결권기준일과 배당기준일을 달리 정하고 있어 투자자들은 배당 관련 투자의사 결정 전 한국거래소‧한국상장사협의회‧코스닥협회 홈페이지에 게시된 상장회사 배당기준일과 배당액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금감원은 "이미 정관 정비를 마친 기업들은 금번 정기주주 총회에 분기배당에 대한 정관개정도 이행해주시기 바란다"면서 "정관개정에 그치지 않고 변경된 절차에 따라 배당액을 확정한 후 배당받을 주주를 결정해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