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에 이어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4월 2일께 발표하겠다고 하면서 일본은 트럼프발 관세 부가 계획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독일에서 열리는 뮌헨안보회의에 참석한 이와야 다케시 외무상은 15일(현지시간)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을 만나 관세 부가 조치에서 일본을 배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일본 공영방송 NHK는 16일, 이와야 외무상이 루비오 장관에게 상호관세 등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검토 중인 관세 조치에 대해 이 같은 의견을 전했다고 보도했다.
구체적으로는 이와야 외무상이 25%의 철강·알루미늄 관세와 맞춤형 상호관세 부과 계획과 관련해 일본을 부과 대상에서 제외해 달라고 요구했고, 자동차 관세 부가 계획에 대해서도 미측에 의견을 제기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외무성은 한·미·일 외교장관회의 직후 이뤄진 이와야 외무상과 루비오 장관 간 의견 교환에 대해 보도자료를 냈다. 자료에는 “양국 장관은 미·일 경제 관계 강화를 향해 긴밀히 의사소통해 나갈 것을 확인했다. 그 가운데 이와야 외무상은 관세조치에 대해 의견을 전했다”고 명시되어 있다.
한편 일본 현지 언론들은 일제히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께’ 발표한다는 자동차 관세 부가 계획에 대해 경계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다만 현재로서는 해당 계획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진의가 분명하지 않은 상황이라는 평가가 많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기자들이 자동차 관세 도입 일정을 묻는 질문에 대해 “아마도 4월 2일께”라는 답변을 내놓은 데 그쳐 이를 둘러싼 다양한 관측들이 나오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15일 “미국에 있어 일본은 멕시코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자동차 수입국이기에 관세 표적이 되어도 이상하지 않다”며 “자동차는 2024년 대미 수출액의 30% 가까이 차지하고 있어 수출 둔화를 통해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같은 날 자동차 관세에 대해 “4월에 계획을 공표할 것인지, 실제로 관세를 발동시킬 것인지는 밝히지 않았다”며 앞서 검토를 지시한 ‘상호 관세’와의 관계도 불분명하다고 짚었다. 단 닛케이 역시 “일본 자동차에 대한 추가 관세가 부과되면 영향이 크다”며 경계감을 드러냈다.
요미우리신문도 16일 무엇보다 자동차 관세가 일본에 큰 위협이 된다고 지적하면서 일본 정부도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자동차 관세 부가 계획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 경제산업성의 한 간부는 자동차 산업에 대한 공격이 제일 큰 위협이라며 “일본 제조업체의 생산 계획 등에 큰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일본 정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부가 언급에 대해 “아직은 세율이나 대상국을 알지 못하는 만큼 일단 지켜본 뒤 결과에 따라 대응을 검토해 갈 것”이라고 답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