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한 해 동안 전국에서 아파트를 가장 많이 매입한 연령층은 30대로 나타났다.
1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매매 계약이 체결된 전국 아파트 49만2052가구 중 26.6%에 해당하는 13만973가구는 30대가 사들였다. 전체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이다. 40대는 26.2%(12만8920가구)로 그 뒤를 이었다.
전국 아파트 연령대별 매입 비중은 2023년에 처음으로 30대가 40대를 앞섰다. 지난해에도 8월까지 30대가 우위에 섰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시행에 들어가면서 가계대출 규제가 강화된 9월부터 11월까지는 40대 비중이 30대를 추월했다. 연말인 12월 들어 다시 30대(26.6%)가 40대(25.8%)를 앞지르면서 30대 매입 비중이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서울 아파트 매입 연령층 역시 30대가 전체의 31.9%(1만8579가구)로 가장 많았다. 아파트 매매 시장을 이끄는 또 다른 축인 40대는 31.7%(1만8492가구)로 그 뒤를 이었다.
30대가 1위 자리를 지키긴 했지만 두 연령대 격차는 계속 줄고 있다. 2022년 4.6%포인트(p), 2023년 4.5%p에서 지난해엔 0.2%p로 격차가 쪼그라들었다.
서울은 지난해 상반기 내내 30대 매입 비중이 40대보다 높았으나 아파트값이 급등한 7월부터 역전됐다. 40대는 대출 규제 여파로 11월까지 30대를 넘어섰다. 12월에 다시 30대가 31.5%로 40대(29.1%)보다 많아지면서 연간으로도 근소한 차로 30대가 우위를 차지했다.
자치구별 매입 연령을 보면 서울 아파트 매맷값 상승을 이끄는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강동구는 40대, 한강변 신흥 주거지로 주목받는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은 30대 비중이 높았다.
전문가들은 올해도 30대가 아파트 매입의 큰손이 될 것으로 내다본다. 다만 오는 7월부터 시행될 3단계 스트레스 DSR 등 대출 규제가 더욱 강화될 예정이라 자금력을 갖춘 40대가 다시 약진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