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반도체의 상징인 인텔이 미국 브로드컴과 대만 TSMC에 의해 회사가 두 개로 쪼개질 가능성이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소식통들을 인용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브로드컴은 인텔의 반도체 설계와 마케팅 사업 인수 방안을 면밀히 검토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소식통들은 인수에 대해 비공식적인 논의가 오갔다며, 다만 인텔의 제조 사업부를 인수할 파트너를 찾을 경우에만 인수할 가능성이 크다고 WSJ에 전했다.
이 와중에 TSMC는 인텔의 반도체 공장 일부 혹은 전체를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TSMC는 브로드컴과 협력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지금까지의 모든 논의는 예비적이고 대부분 비공식적 단계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전날에는 블룸버그통신이 TSMC가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 공장의 지배 지분을 인수해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다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이 최근 TSMC 관계자들을 만나 거래 방안을 제시했으며 TSMC는 해당 방안에 대해 수용적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해당 방안에는 미국의 주요 반도체 설계기업들 역시 인텔 지분을 일부 보유하고, 미국 정부도 지원을 제공하는 방안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통신도 TSMC의 인텔 공장 인수 거래가 성사될 경우 경영난에 빠진 인텔에 '생명줄'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 기업이 미국 기업을 소유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인 만큼 TSMC가 인텔을 인수하는 것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제철이 US스틸을 인수하는 것을 저지한 바 있다. 한 백악관 관계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인텔의 공장을 운영하는 외국 기업이 관련된 인수안을 지지할 가능성이 낮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3일 "미국 기업들이 해외로 이전하기 전에는 (미국에서) 반도체를 만들었지만, 대만이 우리 칩 사업을 빼앗아갔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또한 인텔의 공장을 인수하는 모든 거래에는 미국 정부의 승인이 필요하다. 미국 반도체지원법(칩스법)으로 지원금을 받을 때 새로운 법인으로 분할될 경우 공장의 과반수 지분을 유지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TSMC가 인텔 공장을 인수한다 해도 공장 운영, 인재 배치 등 비용이 많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프랭크 이어리 인텔 임시회장은 잠재적인 인수 후보자, 트럼프 행정부 관리들과의 논의를 주도해 왔고 자신과 가까운 사람들에게 인텔 주주들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가장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WSJ는 전했다.
브로드컴과 TSMC의 인수 논의는 인텔의 위기에서 시작됐다. 한때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던 인텔은 모바일 및 인공지능(AI) 전환에 뒤처진 가운데 대표 시장인 중앙처리장치(CPU) 부문에서는 AMD와 같은 경쟁 업체로 인해 시장 지배력을 빼앗겼고, 메모리 시장에서는 TSMC, 삼성전자와의 경쟁에서 밀려 실적 부진을 겪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