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한 해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가장 '핫'했던(인기가 많은) 트렌드 상품은 한국과 중국 등에서 수입되는 대추라고 베트남 현지 매체 건강과 생활 신문이 전자상거래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메트릭(Metric) 자료를 인용해 1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2024년 베트남 소비자들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여러 가지 트렌드 상품에 수천억동을 지출했는데, 그중 가장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던 것은 라부부(Labubu)나 베이비스리(Baby Three) 등 인기 있는 장난감이 아니라 한국과 중국 신장 등에서 수입되는 대추였다. 특히 신장 대추는 틱톡숍(TikTok Shop) 등 5개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판매된 가운데 총 3220억동(약 183억5000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신장 대추는 다양한 효능으로 널리 홍보되고 있으며, 유명인이나 판매상들이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신장 대추는 몇 년 전에도 인기가 있었지만, 낙타 우유와 캐슈넛을 넣는 등 업그레이드 버전이 등장하면서 2024년에 판매 정점을 찍었다. 대추의 소매가격은 종류에 따라 킬로당 8만~20만동(약 4000~1만원)에 달한다.
그러나 베트남 시장관리기관은 원산지가 불분명하고 품질이 좋지 않은 많은 수입 제품들에 대해 경고하기도 했다. 2025년 1월 24일, 하이즈엉에서 1.4톤 이상의 밀수된 대추가 폐기됐다. 또한 꽝닌성은 캐슈넛이 들어간 낙타우유 대추 캔디 2300상자 이상을 압수했는데, 그 규모는 총 3억4500만동(약 1966만원)이 넘었다.
대추에 이어 블라인드박스(Blind Box, 상자 속에 어떤 종류의 상품이 들어있는지 알 수 없는 것)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두 번째로 매출이 높은 품목으로, 작년 한 해 동안 890억동(약 50억7000만원) 매출을 기록했다. 블라인드박스 챌린지 열풍은 베트남에서 2024년 7월에 시작됐으며, 특히 틱톡숍에서 인기가 많았다.
이 제품은 소비자에게 제품 내용물에 대해 궁금증을 유발해 돈을 더 쓰게 만든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블라인드박스 가격은 500원에서 수천, 수만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2024년 마지막 6개월 동안 쇼피(Shopee)와 틱톡숍에서 판매된 라부부와 베이비스리 등을 담은 블라인드박스는 약 29만3000개로 집계됐다.
라부부는 중국 장난감 업체 팝마트(Pop Mart)의 캐릭터 인형으로, 블랙핑크 리사가 해당 인형을 들고 찍으며 급속도로 유행이 확산됐다.
매출 3위는 카피바라 인형으로 417억동(약 23억7000만원) 매출을 기록했다. 카피바라 인형은 2024년 중반부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화제가 되면서 베개, 열쇠고리, 가방, 거울 등 다양한 제품으로 만들어졌다. 제품 가격은 디자인과 크기에 따라 4만~50만동(약 2만~2만5000원)에 달했다. 카피바라 인기는 더욱 커져 2024년 중반에는 라부부의 인기를 앞지르기도 했었다.
인형 등 장난감 외에도 다양한 품목이 베트남 소비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500원이 안되는 패션 액세서리인 도자기꽃 머리핀은 2024년 3월에 갑자기 트렌드가 되었고, 235억동(약 13억39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4월에는 도자기꽃 머리핀 70만개가 판매되어 50억동(약 2억8500만원)의 매출을 냈다. 5월 이후부터 인기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젊은 층 사이에서 인기 있는 상품 중 하나다.
네슬레(Nestle)의 베어브랜드(Bear Brand) 멸균우유는 많은 베트남인들의 어린 시절 추억과 관련된 제품으로,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만 192억동(약 10억9400만원)의 매출을 올리며 강력한 증가세를 보였다. 이러한 트렌드는 2024년 7월에 네슬레가 베트남에서 ‘곰 연유커피’ 레시피와 함께 다양한 캠페인을 벌이면서 시작됐다. 작년 7월부터 9월까지 베어브랜드 우유 매출은 61억4000만동(약 3억5000만원)에 달했으며 12만3500개 제품이 판매됐다.
2024년 각종 트렌드 상품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은 소셜 미디어가 베트남 소비자의 쇼핑 행동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트렌드에 따라 제품을 선택하는 것 외에도, 품질이 좋지 않은 제품을 구매하지 않기 위해 상품의 품질과 원산지에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