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업계에 따르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경제재정소위원회는 최근 합성니코틴을 규제하기 위해 담배 정의를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담배사업법 개정안을 안건으로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 개정안 핵심은 담배 원료 범위를 ‘연초의 잎’에서 ‘연초 및 니코틴’으로 넓히는 것이다.
일부 의원들이 합성니코틴 업자 생존권 문제를 제기하며 반대했다. 합성 니코틴 역시 기존 담배와 마찬가지로 유해하다는 정부 용역 결과와 관련해 신뢰성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또 합성니코틴 수입업자 등이 크게 반발했다는 후문이다. 이들은 논의에 앞서 해당 상임위 의원들에게 개정안에 반대한다는 문자를 대대적으로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전국 4000여 개 소매점의 입장을 대변하는 전자담배협회 총연합회는 즉각적인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편법 영업을 일삼는 판매자들만 이익을 보게 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연합회는 "담배사업법에 따라 거리 제한을 지키며 적법하게 영업하는 판매자들이 '편법 영업'을 하는 판매자들에게 역차별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회 기재위 소위는 담배사업법 개정안과 관련해 소매점 거리 제한(일정 거리 이상 유지), 가격 상승 폭, 업자 피해 등에 관한 기획재정부 의견을 확인한 뒤 이달 중 추가 논의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