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격을 분석한 결과 지난 1월 시도별 기준 아파트 거래에서 대전은 하락 거래 비중이 49.2%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월 전국 평균 아파트 하락 거래 비중이 44.9%로 1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는데 대전은 전국 평균보다 5%포인트 가까이 높았다.
대전 아파트 가격은 최근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대전 중구 대장 아파트로 불리는 대전목동더샵 아파트 전용면적 59㎡는 2023년 10월만 해도 4억2500만원에 거래가 이뤄졌지만 지난달 이뤄진 거래에서는 해당 단지 동일 면적대가 3억5000만원에 손바뀜됐다. 유성구 용계동 '도안우미린트리쉐이드' 전용면적 123㎡는 지난 1월 9억4630만원에 거래됐는데 지난해 1월 거래(10억4090만원)에 비하면 1억원 가까이 하락한 가격이다.
대표 학군지로 꼽히는 대전 둔산동 아파트 단지에서도 하락 거래가 나타나고 있다. 둔산동 녹원아파트(84㎡)는 지난해 11월 5억원에 거래됐으나 올해 1월에는 4억5800만원에 손바뀜됐고, 둔산파랑새아파트(72.87㎡)는 지난해 12월 3억4500만원에 거래되면서 직전 거래(3억5400만원)에 비해 하락했다.
시장 경색으로 미분양 물량도 적체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미분양 주택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대전 지역 미분양 물량은 2319가구로 집계됐다. 전월(1580가구)과 비교해 46.8% 늘어나면서 전국에서 울산(52.4%)에 이어 증가 폭이 두 번째로 컸다.
현지 부동산 업계는 아파트 값 침체가 인근 세종시 아파트 가격이 급락하면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세종은 지난해 연간 누계 기준으로 아파트 매매가격이 1.16% 하락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하락률을 보였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대전은 인근 지역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는 지역"이라며 "최근 세종에서 주택 가격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며 대전 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고금리에 따라 분양가가 높아진 가운데 대출 규제로 실수요자 구매력이 떨어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송승현 대표는 "최근 대전 지역 새 아파트들이 공사비를 높이면서 분양 가격이 함께 오르고 있다"며 "시장이 좋지 않을 땐 투자 대신 실거주 중심으로 계약이 이뤄지는데 대출 규제까지 겹치며 실수요자들이 주택 구매에 더욱 신중해진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미분양이 쌓이는 상황에서 대전 지역에 올해 공급 물량이 더욱 증가할 예정이어서 시장 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대전은 지난해 1만157가구에서 올해 1만899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구매력이 떨어진 지방 부동산 시장에 양도세·취득세 등 세제 혜택을 기존보다 더 강화하고 지방에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완화 등 다각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며 "시장이 장기 침체로 접어들었고 수급도 불균형하기 때문에 정책을 내놔도 단기간에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