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도지사 사진경기도](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7/20250217171017954318.jpg)
김동연 지사는 이날 "노무현 유산의 상속자가 되고 싶다고 생각했다. 그 유산이라는 것이 자산을 물려받는 것이 아니라 노무현 대통령의 부채를 제가 물려받는 사람이 되겠다며 그런 정치인이 되겠다는 생각을 사실은 오래전부터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노무현 대통령의 부채는 저는 두 가지라고 생각한다. 첫 번째는 비전2030을 실현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개헌을 완수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비전2030은 대한민국이 복지국가로 나아가기 위한 청사진이었다. 제도 개혁과 선투자를 두 축으로 하여 5개의 큰 기둥과 50개의 정책을 제시한 계획이었지만, 당시 야당의 반발로 좌초됐다"고 설명하며 "이제야말로 비전2030을 실천할 때"라며 정책 실행 의지를 분명히 했다.
김 지사는 개헌의 핵심으로 △계엄 요건을 강화하는 '계엄 대못 개헌' △국가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경제 개헌' △제왕적 대통령제를 해소하는 '분권형 4년 중임제 개헌'을 제시했다.
특히 김 지사는 "다음 대통령은 스스로 임기를 단축하고 개헌을 통해 제7공화국을 출범시키는 마중물이 되어야 한다"며 "이는 노무현 대통령이 생전에 주장했던 방향과 정확히 일치한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정치 지도자는 자신을 위한 정치가 아니라 국가와 국민을 위한 결정을 해야 한다"며 "나는 대통령이 되더라도 반드시 개헌을 실행하고 3년 임기 단축을 통해 제7공화국의 기틀을 마련하겠다"고 역설했다.
끝으로 김 지사는 "노무현 대통령의 유산을 상속하는 사람이 많겠지만, 나는 그분이 남긴 부채를 짊어지겠다"며 "비전2030과 개헌을 실현해 노무현 대통령이 미처 이루지 못한 개혁을 반드시 완수하겠다"고 다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