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3동 산업통상자원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8/20250218102619568651.jpg)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3동 산업통상자원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반도체 등 첨단산업 필수 원료로 활용되는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범부처‧기관이 민간 투자 지원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기획재정부·외교부는 18일 광해광업공단‧수출입은행‧무역보험공사 등 기관 및 기업과 합동으로 '핵심광물 투자 협의회' 출범 회의를 개최해 국내‧외 핵심광물 투자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협의회는 '공급망 안정화 기본계획'과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 따라 출범했다.
정부는 이번 협의회를 통해 민간 중심의 유망 핵심광물 투자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공급망안정화기금 투자를 비롯한 해외자원개발조사‧융자(광해광업공단‧에너지공단), 해외투자보험(무역보험공사) 및 공급망컨설팅지원(코트라) 등 기존 지원제도를 포괄하는 민관협력 종합 지원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특히 공급망안정화기금은 올해부터 연간 500억원 수준에서 핵심광물에 대해 민관 공동투자를 추진하고 연도별 수요에 따라 지속·장기투자를 추진해 핵심광물 투자가 단기·일회성 투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장기 투자로 이어지도록 적극 뒷받침할 예정이다.
그간 정부는 핵심광물 확보전략을 마련하는 등 민간 핵심광물 확보를 간접적으로 지원해 왔으나 직접투자 지원 수단이 없고 지원 사업간 연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향후 공급망안정화기금과 이번 협의회를 통해 우리 기업의 핵심광물 확보 프로젝트에 직‧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지원사업간 연계를 강화해 민간의 자원개발사업 성과를 제고할 예정이다.
우리 정부가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의장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만큼 핵심광물 투자 협의회와도 연계해 채굴·가공 등 다양한 해외 핵심광물 투자 사업에 참여하는 우리 기업들을 적극 지원해나가기로 했다.
핵심광물 투자 협의회는 해외자원산업협회와 광해광업공단이 공동 간사로 운영한다. 향후 분기별 1회 개최를 원칙으로 하되 필요시 수시로 개최해 유망 프로젝트를 발굴‧지원하고 정부 지원제도의 개선방안 등도 논의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기획재정부·외교부는 18일 광해광업공단‧수출입은행‧무역보험공사 등 기관 및 기업과 합동으로 '핵심광물 투자 협의회' 출범 회의를 개최해 국내‧외 핵심광물 투자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협의회는 '공급망 안정화 기본계획'과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 따라 출범했다.
정부는 이번 협의회를 통해 민간 중심의 유망 핵심광물 투자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공급망안정화기금 투자를 비롯한 해외자원개발조사‧융자(광해광업공단‧에너지공단), 해외투자보험(무역보험공사) 및 공급망컨설팅지원(코트라) 등 기존 지원제도를 포괄하는 민관협력 종합 지원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그간 정부는 핵심광물 확보전략을 마련하는 등 민간 핵심광물 확보를 간접적으로 지원해 왔으나 직접투자 지원 수단이 없고 지원 사업간 연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향후 공급망안정화기금과 이번 협의회를 통해 우리 기업의 핵심광물 확보 프로젝트에 직‧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지원사업간 연계를 강화해 민간의 자원개발사업 성과를 제고할 예정이다.
우리 정부가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의장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만큼 핵심광물 투자 협의회와도 연계해 채굴·가공 등 다양한 해외 핵심광물 투자 사업에 참여하는 우리 기업들을 적극 지원해나가기로 했다.
핵심광물 투자 협의회는 해외자원산업협회와 광해광업공단이 공동 간사로 운영한다. 향후 분기별 1회 개최를 원칙으로 하되 필요시 수시로 개최해 유망 프로젝트를 발굴‧지원하고 정부 지원제도의 개선방안 등도 논의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