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은 올해 사상 첫 분기배당 시행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다음 달 열리는 정기주주총회에서 분기배당 도입을 위한 정관변경 안건을 올려 승인할 것으로 보인다.
BNK금융이 배당 방식을 바꾸는 건 2023년 중간배당을 도입한 이후 약 1년 반 만이다. 현재 중간 배당과 결산 배당으로 연 2회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는데, 분기배당을 실시하면 4회로 늘어나게 된다.
앞서 JB금융은 지방지주 중 가장 먼저 분기배당을 도입했다. 지난해 1분기 처음 분기배당을 실시한 데 이어 같은 해 7월 이사회에서 분기배당의 정례화를 결정했다. DGB금융의 경우 분기배당 도입에 대해 결정된 바는 없지만, 관련 내용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다.
분기배당은 주주가 분기마다 배당금을 재투자 등에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어 더 확대된 주주환원책으로 꼽힌다. 정부가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이에 발맞춰 금융지주들이 배당 정책을 강화하고 나선 것이다.
밸류업 정책에 따라 지방지주는 자사주 매입·소각에도 힘을 싣고 있다. 올해 예정된 BNK·JB·DGB금융의 자사주 매입·소각 규모만 1000억원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630억원 대비 58.7% 넘게 확대한 수준이다. 지주별로 보면 지난해 자사주 매입·소각을 전혀 실시하지 않았던 DGB금융이 400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다만 주주환원책에 있어 지방지주는 4대 금융을 뒤쫓고 있는 상황이다. 이미 4대 금융은 모두 분기배당을 도입해 실시하고 있고, 올해 예정된 자사주 매입·소각 규모만 총 2조원을 웃돈다. 현재까지 발표한 규모는 1조7700억원인데, 통상 금융지주는 하반기에 자사주 계획을 추가로 발표하고 있다.
우리금융은 4대 금융 중 처음으로 비과세 배당 도입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다음 달 정기주총에서 자본잉여금 3조원을 이익잉여금으로 이입하는 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다. 비과세 배당은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이 아닌 주식발행초과금 등 주주가 증자에 참여해 내놓은 출자 자금을 반환해 주는 방식으로 배당소득세를 내지 않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