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는 18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다음달 19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이사 선임 등 안건을 상정하기로 했다.
신임 이사진에는 반도체 전문가들이 이름을 올렸다. 신규 사외이사로는 이혁재 서울대 교수가 내정됐다. 이 교수는 대한전자공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현재 서울대 시스템반도체 산업진흥센터장, 서울대 인공지능반도체 대학원 사업단장, 한국공학한림원 반도체특별위원회 공동위원장,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장 등을 맡고 있다.
신규 사내이사로는 전영현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부회장)과 송재혁 DS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반도체연구소장(사장)이 내정됐다. 이사회에 반도체 전문가만 3명이 포진하는 셈이다.
기대를 모았던 이 회장의 사내이사 선임 안건은 이번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국내 4대 그룹 총수 중 현재 미등기임원은 이 회장이 유일하다. 재계 일각에서는 이 회장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 받은 만큼 사내이사로 복귀할 가능성을 제기했지만, 검찰이 대법원에 상고하며 사법 리스크가 온전히 해소되지 않은 점 때문에 이사회 복귀 시점이 연기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내부에서는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오후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정례회의 참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내부에 많은 분들은 이 회장이 전면에 나서 지휘해 주길 바란다"며 "삼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전해 들을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삼성의 사외이사는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가진 분들로 구성돼 있는 만큼 자주 소통하면서 다양한 의견을 청취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 불발로 삼성의 컨트롤타워 재건 논의도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위원장은 "준감위 내부에서도 컨트롤타워와 관련해서는 통일된 의견을 내지 못할 정도로 여러 관점에서 평가가 되는 부분"이라며 "개인적으로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어떤 방식으로 만들고 이끌어갈지는 회사에서 많은 고려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검찰의 대법원 상고에 대해서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 용기 있는 선택을 할 필요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런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