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여권에 따르면 한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 당대표직 사퇴 이후 집필한 '국민이 먼저입니다-한동훈의 선택'에 대한 온라인 예약판매를 시작할 계획이다.
이 책에는 비상대책위원장으로서 지난해 4·10 총선을 이끌었던 소회와 12·3 비상계엄 사태,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통과 등 최근 여권 내 위기와 관련한 한 대표의 시각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한 친한(친한동훈)계 인사는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윤 대통령과의 관계나 정당인으로서의 입장이 아닌 국민의 입장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겠다는 뜻을 담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탄핵심판이 마무리 수순에 들어간 두고 일각에선 한 전 대표가 조기 대선 참여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한 전 대표의 자진 사퇴에 따라 당 주류로 재편된 비한(비한동훈)계 인사들은 불쾌감을 숨기지 않고 있다.
대표적 친윤계로 꼽히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서 "한 전 대표께서 지금 나서시면 당의 혼란을 불러올 뿐이다. 조금씩 기력을 회복해 가는 우리당에 무거운 짐을 하나 더 얹는 결과를 가져올 뿐"이라고 복귀 반대 입장을 밝혔다. 5선 나경원 의원은 전날 "지금은 한 전 대표의 시간이 아니다. 더 자숙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당 지도부는 한 전 대표의 복귀를 "개인의 선택"이라고 밝혔으나, 이를 반기지는 않는 분위기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한 전 대표가 (비상계엄을) 바로 '위헌이고 위법'이라고 얘기한 부분은 조금 성급했다. (내가) 국회 표결 현장에 있었어도 계엄해제 표결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반면 친한계인 신지호 전 전략기획부총장은 18일 KBS 라디오 '전격시사'에서 "달걀 세례를 받는다고 할지라도 한 전 대표가 느꼈던 회한들을 진솔하게 당원들과 나누는 시간이 있을 것"이라며 활동이 임박했음을 알렸다. 신 전 부총장은 "한 전 대표가 재등판하려니까 굉장히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분들이 많다"며 "조기 대선 승리를 위해서는 중도 보수 대연합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종혁 전 최고위원도 이날 페이스북에서 비한계 인사들을 향해 "지난 두달 내내 앞뒤 안 맞는 주장을 하며 한 전 대표를 공격하던 당내 기득권 정치인들이 아니나 다를까 펄펄 뛴다"고 직격했다. 김 전 최고위원은 "새로운 정치, 변화와 쇄신의 바람, 시대를 바꾸자는 열망이 불어닥치는게 싫어서 그러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금은 비상시국입니다.
비상시국에는 비상시국에 맞는 행동이 필요합니다.
책출간하면서 복귀 명분 찾는 것은 평상시에 할 행동입니다.
지금은 비상시국이라 바로 복귀선언하고 활동하시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굳이 복귀선언 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냥 활동하시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리 저리 좌고우면 하실 필요없습니다.
보수도 아닌 극우들이 판치고 또 그런 극우들을 부추키는
혼란한 상황에서는 보수가 국민들의 지지를 받기 어렵습니다.
바로 복귀하셔서 건강한 보수를 재건하시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