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물경기 회복 지원"…금융위, 상반기 정책금융 60% 조기집행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안선영 기자
입력 2025-02-19 1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김소영, '정책금융 조기집행 점검회의' 개최

  • 정책금융기관, 14일까지 33조원 자금 공급

  • 4월중 예년比 13조 늘어난 122조 공급 계획

사진금융위원회
[사진=금융위원회]

정부는 실물경기의 조속한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4월까지 예년 대비 최대 13조원 확대된 122조원의 정책금융을 집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상반기 중 최대 60% 자금을 신속 집행한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19일 '정책금융기관 조기집행 점검회의'를 주재해 정책금융기관별 자금집행 현황을 점검하고 상반기 중 자금집행 확대를 독려했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2%대 저성장이 고착화된 가운데 올해 실질성장률 전망치가 1%대로 하향되는 등 경제전망도 밝지 않다"면서 "실물경기 회복속도가 늦춰지면 산업생태계 구성 기업들의 어려움이 가중될 수밖에 없는 만큼 정책금융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산업은행·수출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등 5개 정책금융기관은 14일까지 총 33조원의 자금을 공급해 전년 대비 17% 빠른 속도로 자금을 집행하고 있다.

이들 정책금융기관은 3월 말까지 88조원의 자금을 공급하고 4월말까지는 예년 대비 13조원 확대된 122조원 이상의 자금을 산업현장에 공급할 계획이다. 이는 연초 '주요현안 해법회의'에서 발표한 '4월까지 +10조원 공급'보다 3조원 확대된 것으로, 수출입은행의 목표치가 추가로 반영됐다. 이를 통해 정책금융기관 연간 공급계획의 60%를 상반기 내에 달성할 계획이다. 

지분투자확대를 위한 정책펀드의 결성도 예년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올해 3년차를 맞은 연 3조원 규모의 '혁신성장펀드'는 예산안이 확정된 직후인 작년 12월 조성계획을 조기에 발표한 데 이어 지난 10일 모펀드 운용사 선정을 마무리했다. 이는 2023년, 2024년보다 2개월가량 빠른 것이어서 산업현장에 자금이 실제 공급되는 속도도 더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은행은 정부의 자본금 증자가 집행되기 전인 지난달부터 4조25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설비투자지원 특별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반도체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이 설비투자를 하려는 경우 산업은행을 통해 2%대 국고채 수준 금리로 자금을 대여받을 수 있다. 작년 7월 산업은행의 자체여력으로 먼저 제공된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업은 새 프로그램으로 대환할 수도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