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팜비치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위해 이달 안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날 것이라고 18일(현지시간) 밝혔다. 미·러가 주도하는 종전 협상에 강하게 반발 중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 대해서는 ‘지지율 4% 대통령’이라고 깎아내리며 3년간 협상 시도가 없었음을 우회 비판했다. 우크라이나가 내건 종전 협상 조건 중 하나인 ‘우크라이나 내 미군 주둔’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피력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러 양자 협상의 결과를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 팜비치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진행된 미·러 간 고위급 회담에 대해 “매우 잘 진행됐다”고 평가했다. 특히 그는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과 관련해 “더 많은 자신감을 얻었다”며 이달 말 이전에 푸틴 대통령과 회동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쟁터에서 다수의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이 사망하고 있다며 “북한군도 많은 수가 사망했다. 그들은 싸우기 위해 왔지만 많은 수가 죽임을 당했다”고 언급했다. 러시아와 북한이 북한군의 참전을 공식 확인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종전 후 우크라이나에 유럽이 평화 유지군을 주둔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유럽이) 그렇게 하고 싶다면 그것도 괜찮다. 나는 전적으로 찬성”이라며 “우리는 멀리 떨어져 있어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종전 이후 안전보장을 위해 미국을 포함한 서방국가의 군대를 평화유지군으로 배치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미군 배치에 대해서는 일단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러 고위급 회담에 우크라이나가 배제된 것에 불만을 제기한 젤렌스키 대통령을 향해 “매우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그들(우크라이나 정부 및 관계자)은 3년 동안 협상 테이블에 앉았다”며 “그들이 (협상 테이블에) 앉지 못해 걱정하고 있지만 오래 전에 협상을 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정부가 계엄령을 선포했기 때문에 선거가 실시되지 않았다며 “우크라이나 지도자(젤렌스키 대통령)는 지지율이 4%로 떨어졌다”며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선거를 치러야 하지 않겠느냐. 우크라이나는 무너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젤렌스키 대통령을 겨냥해 “당신은 결코 시작하지 말았어야 했다. 거래를 할 수도 있었다”며 “난 개인적으로 그를 좋아하지만 전쟁이 지속되도록 한 것은 리더십의 문제”라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해 미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최근 우크라이나 여론조사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의 지지율은 약 50%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악시오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우크라이나가 전쟁을 시작했고 젤렌스키 대통령이 자국민들에게 인기가 없다는 거짓된 주장”이라며 “트럼프 행정부가 평화 회담 가능성을 앞두고 러시아 편을 들고 있다는 우려를 우크라이나와 미국의 동맹국들 사이에 증폭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젤렌스키 미·러 협상에 “전쟁 초 러 최후통첩 수준 논의” 반발
협상 당사자인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러의 협상 결과에 대해 ‘절대 수용 불가’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이날 터키 앙카라에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정상회담 후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가 빠진 상태에서 미·러 사이에 이뤄진 종전 협상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마치 푸틴 대통령이 전쟁 발발 시점에 구상한 최후통첩에 대해 미국이 논의하고 있는 것 같다”며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이들의 협상 결과는 우크라이나가 배제된 채 도출된 것으로 우크라이나가 따를 수 없는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아울러 젤렌스키 대통령은 외교적인 방법으로 러시아가 점령한 동부와 남부 지역을 되찾을 것이라며 “그들(러시아 점령지 주민)은 우크라이나인이며, 어떠한 양보나 협상도 없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미·러는 이날 사우디 수도 리야드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식 방안을 놓고 협상했다. 양국이 첫 만남에서 우호적 분위기 속에 전쟁 종식 방안을 다룰 고위급 협의체를 구성하는 데에 합의하면서 관련 논의가 급물살을 타게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