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국표원에 따르면 이날 개최된 제1차 '무역기술장벽 대응 협의회'에서는 관련 부처가 해외기술규제 현안을 공유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그동안 국표원은 식의약품, 농수산품, 화학세라믹 등 다양한 분야 공동대응을 위해 관련 부처와 협의회를 구성, 운영해 왔다. 특히 지난해 6월부터는 무역기술장벽 통보문이 가장 많은 식의약품 분야를 시작으로 관련 부처와 함께 해외기술규제를 분석(1433건)해 기업에 제공(27건)하고 공동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협업 성과를 확대하기 위해 무역기술장벽 대응 협의회를 통해 지원 분야를 지속 늘려나갈 계획이다.
오늘 회의에서는 국표원이 지난해 무역기술장벽 통보문 현황·국가별 대응 실적, 제1차 세계무역기구 무역기술장벽 위원회를 통해 이의를 제기할 특정무역현안 안건을 공유했다.
오늘 회의를 주재한 이창수 국장은 "여전히 다자무역체제가 원활히 작동되고 있지 않은 가운데 다양한 분야에서 수출기업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관련 부처가 지금과 같이 굳건한 공조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