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은 19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주력산업 모니터링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는 “조선업은 경기 호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친환경·고부가가치 선박 중심의 선별 수주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수익성도 더욱 개선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화석연료 중심 에너지 정책, 동맹국과 협력 증대, 대중국 견제에 따른 반사이익 등도 조선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했다.
자동차 수출에 대해선 “견조한 북미 수요에도 유럽 판매 부진, 미국 보호무역주의 정책 강화에 대응한 현지 생산 확대 등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점쳤다.
석유화학 업황도 부정적으로 봤다. 한은은 “글로벌 제조업경기 개선 지연과 공급과잉 등으로 생산과 수출이 크게 증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철강 업황 역시 “국내 건설경기 침체, 중국 부동산경기 회복 지연 등에 따른 부진이 이어질 것”이라며 “미국의 25% 관세 부과가 예고된 점은 추가 하방 위험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