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곽 사장은 1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취재진으로부터 딥시크가 반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다.
곽 사장은 “AI가 본격적으로 산업과 사회에 스며들고 퍼지는 계기가 돼 장기적으로는 반도체 수요를 자극할 것”이라며 “반도체 쪽에 훨씬 더 큰 기회가 올 것”이라고 봤다.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비)'를 내세운 딥시크 AI가 출현한 뒤 일각에서 엔비디아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둔화할 수 있단 우려를 내놨지만, 오히려 AI 보급의 물꼬를 틀 것으로 본 셈이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25%의 반도체 관세 부과 방안과 관련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나온 게 없다”고 했다.
한편 곽 사장은 이달 말을 마지막으로 한국반도체산업협회장 자리를 내려 놓게 됐다. 곽 사장의 후임으로는 송재혁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최고기술책임자(CTO) 사장이 내정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