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시민들이 한 번의 신청으로 의료·주거·요양 등 필요한 돌봄을 원스톱으로 받을 수 있는 ‘통합돌봄서비스’를 도입한다고 20일 밝혔다.
시는 이같은 내용의 서울형 통합돌봄서비스 시범 사업 계획을 20일 발표했다. 통합돌봄은 △보건의료 △건강 △요양 △돌봄 △주거 등 5가지 분야를 연계·제공하는 게 골자다.
이는 1인 가구 증가와 초고령사회 진입 등 의료·돌봄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서비스별 신청·접수기관이 다르거나 신청 절차가 복잡해 제때 지원을 받지 못하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다.
아울러 내년 3월 시행 예정인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에 맞춰 올해 통합돌봄 서비스를 본격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통합돌봄서비스 추진을 위해 시와 자치구, 동주민센터는 밀접 협력한다. 자치구는 통합돌봄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하고 동주민센터는 통합돌봄서비스 신청·접수, 현장방문 등을 통해 돌봄 대상자를 선정하는 등 역할을 할 예정이다.
통합돌봄은 돌봄이 필요한 당사자의 상황을 전문가들이 종합적으로 판단해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게 핵심이다.
돌봄이 필요한 본인 또는 보호자가 가까운 동주민센터에 지원을 신청하면 통합돌봄 대상자 선정 과정을 거친 뒤,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이때 동주민센터 소속 통합돌봄관리사가 대상자를 살피고 단기·단편적 돌봄이 필요하면 즉시 서비스를 연계한다.
만약 중장기·복합적 처방이 필요할 때 자치구에 설치된 통합돌봄지원센터로 연계되는 식이다. 통합돌봄 대상자로 최종 확정되면 한번 신청으로 의료, 주거, 요양 등 다양한 돌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시는 올해 통합돌봄센터를 시범적으로 설치·운영한 후 내년 법 시행에 맞춰 전체 자치구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현재 시는 시범사업에 참여할 자치구 공모를 진행 중이며 3월 중 4개 자치구를 선정해 자치구당 1억원 내외의 예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시는 운영 결과 개선사항 등을 발굴해 하반기 관련 조례 제정에 나설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