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21일 구리시장의 서울편입 추진에 유감을 표명하며 경기주택도시공사(GH) 구리 이전과 관련한 모든 절차를 전면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고영인 경제 부지사는 이날 언론 브리핑을 통해 "김동연 지사는 ‘구리시가 서울편입을 추진하는 한 GH의 구리시 이전 백지화를 검토하라'는 지시가 있었다"고 밝혔다.
고영인 부지사는 "경기도는 구리시장의 서울편입 추진에 유감을 표명하며, 그에 상응하는 조치로 경기주택도시공사(GH) 구리 이전과 관련한 모든 절차를 전면 중단한다"고 말하며 "경기도는 70년 규제에 묶인 경기북부의 성장잠재력을 극대화하고 대한민국의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경기북부로의 공공기관 이전을 약속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구리시는 구리시민 1만명이 넘는 유치서명과 20만 구리시민의 염원을 근거로 2021년 공모에서 10개 시/군을 물리치고 GH 이전 대상지로 선정됐다"며 "GH가 구리로 이전하면, 연간 약 80억원의 지방소득세 증대효과 뿐만 아니라, 655명의 근무직원과 연간 1만5000 방문고객 증대 등으로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GH 구리이전은 단순히 구리시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침체된 경기북부를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원동력으로 도약시킬 북부개발의 상징"이라며 "경기도는 이러한 공공기관 이전 약속이행 차원에서 GH 구리이전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고영인 부지사는 "지금 구리시장은 GH 이전과 서울편입을 동시에 추진하겠다고 주장하고 있다.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이라며 "구리시가 서울시에 편입되면 경기도 공공기관인 GH가 구리시에 갈 아무런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