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례‧혐오언어' 댓글, 유튜브보다 포털뉴스 더 많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한영훈 기자
입력 2025-02-22 09:5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유튜브 영상 댓글보다 포털사이트 뉴스 댓글에서 '무례', '혐오' 등 언어가 더 많이 발견된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자기와 다른 성향 뉴스를 발견했을 때 진보성향은 무시하고, 보수성향은 반박 댓글을 다는 경우가 많은 걸로 나타났다.

22일 언론정보연구에 실린 ‘언어 사용과 의견 양극화’에 따르면 사람들이 특정 문제 보도를 일차적으로 접하면서 댓글을 다는 통로는 유튜브보다 포털사이트가 우위에 섰다.

연구진은 대통령 지지율(2022년 5월 1일부터 1년), 여성가족부 폐지(2022년 1월 1일부터 1년), 화물연대 총파업 등 노조 파업(2022년 6월 1일부터 1년) 등 세 가지 사안과 관련해 조선일보, 한겨레 네이버 뉴스 댓글, 유튜브 영상 조회수 10위까지 댓글을 분석했다.

무례 언어는 '개인, 집단의 인격적 가치에 대한 사회 평가를 저하하는 욕설, 비방 등 언어적인 표현', 혐오 언어는 '특정 집단의 고유한 특성을 근거로 적대적이거나 편견적인 표현을 하고 증오와 차별을 옹호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정파성(진보·보수·무관), 언어 존중(낮음·중간·높음) 등 항목도 추가됐다.

포털뉴스 댓글에서 무례 언어는 2844건(23.9%), 혐오 언어는 893건(7.5%), 무례·혐오 언어는 237건(2%)으로 나타났다. 유튜브 댓글에서 무례 언어는 1212건(12.3%), 혐오 언어는 105건(1.1%), 무례+혐오 언어는 44건(0.4%)으로 집계됐다.

연구진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뉴스를 접하는 통로가 인터넷 포털임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진보 성향자들은 혐오 언어를, 보수 성향자들은 무례 언어를 피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자신과 다른 성향 뉴스를 발견했을 때 진보성향의 경우 '비추천', '싫어요'를 누르거나 구독 취소 또는 탈퇴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보수성향의 경우 반박 댓글을 작성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앞섰다.

연구진은 "정치 성향에 따라 다른 반응을 유의미하게 보여준 연구 결과"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