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맥스, 지난해 매출 2조원 돌파…영업익 전년비 51.6%↑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자연 기자
입력 2025-02-24 17:1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코스맥스 평택2공장 전경 사진코스맥스
코스맥스 평택2공장 전경. [사진=코스맥스]
글로벌 화장품 연구·개발·생산(ODM) 기업 코스맥스가 연간 매출 2조원을 돌파했다.

코스맥스는 24일 공시를 통해 지난해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이 전년 대비 21.9% 오른 2조 1661억원이라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754억원, 당기순이익은 884억 원으로 각각 51.6%, 133.9% 성장했다.

코스맥스 한국 법인은 지난 2023년 처음 매출 1조원을 돌파한데 이어 지난해에도 고성장을 이어갔다. 매출은 전년 대비 28.4% 증가한 1조 3577억원, 영업이익은 59.8% 늘어난 1387억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인디브랜드 고객사가 글로벌 시장에서 선전하며 내수는 물론 수출 물량까지 크게 늘어나며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할 수 있었다. 상위 고객사의 주문 물량 확대와 함께 빠르게 성장하는 소규모 고객사까지 가세하면서 사업 구조 안정성까지 커졌다.

제품 유형별 비중은 기초와 색조가 5대 5의 비율을 기록했다. 세부 유형별로도 파운데이션, 립, 파우더와 같은 색조부터 에센스, 크림류, 선케어 등과 같은 기초 제품까지 특정 유형에 편중되지 않는 고른 분포를 보였다.

코스맥스 중국 법인은 중국 내 화장품 소비 둔화에도 역성장에서 벗어나 반등을 시작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4.9% 증가한 5743억원을 기록했다. 기존 온라인 채널에 주로 포진돼 있던 고객사를 오프라인과 지역 기반 브랜드 등으로 다변화에 성공했다. 
 
성장세만 놓고 보면 인도네시아와 태국 등 동남아 지역 법인이 국내 법인을 앞섰다. 코스맥스인도네시아 매출은 전년 대비 31.9% 증가한 1132억원을 기록하며 2011년 설립 이후 처음으로 매출 1000억원을 돌파했다. 특히 현지에서 에센스, 선제품, 클렌징워터 등 기초 제품 비중이 늘어나면서 이익 창출에 기여했다. 

코스맥스 태국 법인 매출은 435억원으로 전년 대비 70.4% 급증했다. 태국 화장품 시장 성장에 맞춰 상위권 고객사들이 덩치를 키우면서 매출 확대에 기여했다.

미국 법인 매출은 전년 대비 2% 감소한 1371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연말부터 미국 캘리포니아 영업 사무소를 통해 신규 고객사 유입이 잇따르면서 올해 본격적인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올 한해 코스맥스는 K뷰티를 주도하고 있는 인디브랜드와 국내 시장 성장은 물론 해외 수출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전략품목인 크림, 선케어, 파운데이션, 립 제품에 대해서 지역별 맞춤형 체계 및 전략을 수립했다.

특히 선케어 제품은 MZ세대 소비자 취향을 반영해 50% 이상의 매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자외선 차단제 생산 품목은 전년 대비 3배 이상 늘어날 전망이며 지난해보다 4배 이상 많은고객사가 코스맥스와 협업해 자외선 차단제 시장에 진출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한국 법인의 경우 공장 내 라인 증설을 통해 인디 브랜드 주문량 확대에 대응하는 한편, 각 고객사 유형에 따른 지원을 강화해 동반성장을 이어갈 방침이다. 고속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동남아 법인은 할랄 인증 공장의 이점을 적극 활용하면서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베트남 등 인근 국가 수출 비중을 더욱 높여 동남아 내 영업망을 확대할 계획이다.

코스맥스 관계자는 "지난해 인디브랜드의 성장과 K뷰티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화장품 ODM 매출 2조원을 돌파했다"며 "잠재 고객사 발굴은 물론 지역별 고객사를 세분화하여 세계 1위 화장품 ODM 업체의 지위를 굳혀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