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3일 주한 베트남 유학생 총회(VSAK)가 열린 'Job Fair 2025' 행사에서의 FPT 코리아 채용 부스 현장. [사진=VSAK]
주한 베트남 유학생 총회(VSAK)가 개최한 제1회 재한 베트남 유학생 채용 박람회(Job Fair 2025)가 성황리에 진행됐다. 이번 박람회는 한국에서 처음 열린 행사로, 약 500명의 베트남 유학생이 참가했다.
23일 서울 사이버대학교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후원하고 국제 무역 및 서비스 회사(VKLINKS)와 한국유학신문(Study Korea News Inc.)가 공동 주최했다.
이번 행사는 취업 기회를 제공하면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경력 개발을 지원하는 자리였다. 또한 기업에는 우수한 인재를 연결하여 인력 확보의 기회를 제공했다. 아울러, 베트남 유학생과 기업 간의 가교 역할을 하며 양국 간 우호 협력 관계 증진에 기여했다.
응우옌 티 타인 빈(Nguyen Thi Thai Binh) 주한 베트남 부대사는 이날 축사를 통해 "이번 행사는 한국과 베트남 기업에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유학생들이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고 전공과 적합한 일자리를 찾는 가교가 되었다"며 "베트남 유학생들의 한국 유학을 장려하고, 양국 간 인적 교류 및 인재 협력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행사를 높이 평가했다.
부대사는 또한 이런 활동이 베트남-한국 간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했다.
응우옌 쩐 흥(Nguyen Tran Hung) 주한 베트남 유학생 총회 회장은 "베트남 유학생들은 어디에서든지 전문적인 능력과 성실한 태도, 그리고 발전하려는 의지로 인정받고 있다"며 "그러나 경험 부족과 한국 기업의 공채에 접근할 기회 별로 없는 것 등이 걸림돌이어서 졸업 후 취업은 여전히 큰 과제"라고 짚었다.
이어 그는 "이번 Job Fair 2025는 단순한 취업 박람회가 아니라, 학생들이 실질적인 경험을 쌓고, 취업 서류를 준비하며, 비자 절차와 취업 관련 법률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Job Fair 2025' 행사의 일환으로, '2025년 진로 및 경력 개발'이라는 주제의 좌담회도 진행했다. 이번 좌담회는 학생들이 미래 진로에 대해 현실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자리로, 주한 베트남 혁신 네트워크 (VINK) 회장이자 FPT 소프트웨어 코리아의 사업개발부 시니어 디렉터인 응우옌꽝프억(Nguyen Quang Phuoc) 이사, 광운대학교 교수이자 'Puzamin 공동체' 도응옥루옌(Do Ngoc Luyen) 회장, FPT 코리아의 도안만끄엉(Doan Manh Cuong) 프로젝트 매니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연설자로 참여했다.
연설자들은 베트남 유학생들이 한국 취업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성공적인 경력 개발을 이루기 위한 현실적인 조언과 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Job Fair 2025' 이번 행사에 참가한 베트남 유학생들은 이력서 작성·보완 방법에 대한 지도를 받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적성과 맞는 직업군에 대한 상담을 받고, 현장에서 기업과 직접 채용 면접을 볼 기회도 얻었다.
향후 VSAK은 유학생들의 경력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취업 관련 행사를 지속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23일 서울 사이버대학교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후원하고 국제 무역 및 서비스 회사(VKLINKS)와 한국유학신문(Study Korea News Inc.)가 공동 주최했다.
이번 행사는 취업 기회를 제공하면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경력 개발을 지원하는 자리였다. 또한 기업에는 우수한 인재를 연결하여 인력 확보의 기회를 제공했다. 아울러, 베트남 유학생과 기업 간의 가교 역할을 하며 양국 간 우호 협력 관계 증진에 기여했다.
응우옌 티 타인 빈(Nguyen Thi Thai Binh) 주한 베트남 부대사는 이날 축사를 통해 "이번 행사는 한국과 베트남 기업에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유학생들이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고 전공과 적합한 일자리를 찾는 가교가 되었다"며 "베트남 유학생들의 한국 유학을 장려하고, 양국 간 인적 교류 및 인재 협력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행사를 높이 평가했다.
부대사는 또한 이런 활동이 베트남-한국 간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했다.
응우옌 쩐 흥(Nguyen Tran Hung) 주한 베트남 유학생 총회 회장은 "베트남 유학생들은 어디에서든지 전문적인 능력과 성실한 태도, 그리고 발전하려는 의지로 인정받고 있다"며 "그러나 경험 부족과 한국 기업의 공채에 접근할 기회 별로 없는 것 등이 걸림돌이어서 졸업 후 취업은 여전히 큰 과제"라고 짚었다.
이어 그는 "이번 Job Fair 2025는 단순한 취업 박람회가 아니라, 학생들이 실질적인 경험을 쌓고, 취업 서류를 준비하며, 비자 절차와 취업 관련 법률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Job Fair 2025' 행사의 일환으로, '2025년 진로 및 경력 개발'이라는 주제의 좌담회도 진행했다. 이번 좌담회는 학생들이 미래 진로에 대해 현실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자리로, 주한 베트남 혁신 네트워크 (VINK) 회장이자 FPT 소프트웨어 코리아의 사업개발부 시니어 디렉터인 응우옌꽝프억(Nguyen Quang Phuoc) 이사, 광운대학교 교수이자 'Puzamin 공동체' 도응옥루옌(Do Ngoc Luyen) 회장, FPT 코리아의 도안만끄엉(Doan Manh Cuong) 프로젝트 매니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연설자로 참여했다.
연설자들은 베트남 유학생들이 한국 취업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성공적인 경력 개발을 이루기 위한 현실적인 조언과 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Job Fair 2025' 이번 행사에 참가한 베트남 유학생들은 이력서 작성·보완 방법에 대한 지도를 받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적성과 맞는 직업군에 대한 상담을 받고, 현장에서 기업과 직접 채용 면접을 볼 기회도 얻었다.
향후 VSAK은 유학생들의 경력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취업 관련 행사를 지속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