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5일 "내년 경제성장률을 1.8%로 전망했는데 이는 괜찮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2.75%로 인하한 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그게 우리 실력이므로 받아들여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과거 고도성장에 너무 익숙해서 1.8%라고 하면 내수도 부진하고 고통스러운 위기라고 하는데 우리 실력이 그 정도"라며 "구조조정을 안 하고 기존 산업에 의존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신성장동력을 키우지 않고 해외 노동자도 안 데려오고 하는데 1.8% 이상으로 성장하려면 재정을 동원하고 금리를 낮춰야 한다"며 "그러면 가계부채는 올라가는 등 나라 전체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은이 지난해 연말 발표한 2025~2030년 평균 잠재성장률이 1.8%인데 이를 비추어 볼 때 낮은 경제성장률은 아니라는 의미다. 그는 "더 높이 성장하려면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는 게 제가 계속해서 드리는 메시지"라고 덧붙였다.
구체적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언급하며 "부동산 PF에 일부 중견기업 자금도 묶여 있을 만큼 지난 몇년 간 계속해서 많은 자금이 부동산에 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부동산PF가 조정 국면에 있는데 묶여 있는 자금이 부동산이 아니라 신성장으로 돌아가도록 도와줘야 하며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이 부동산 구조조정에 사용되는 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2.75%로 인하한 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그게 우리 실력이므로 받아들여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과거 고도성장에 너무 익숙해서 1.8%라고 하면 내수도 부진하고 고통스러운 위기라고 하는데 우리 실력이 그 정도"라며 "구조조정을 안 하고 기존 산업에 의존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신성장동력을 키우지 않고 해외 노동자도 안 데려오고 하는데 1.8% 이상으로 성장하려면 재정을 동원하고 금리를 낮춰야 한다"며 "그러면 가계부채는 올라가는 등 나라 전체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언급하며 "부동산 PF에 일부 중견기업 자금도 묶여 있을 만큼 지난 몇년 간 계속해서 많은 자금이 부동산에 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부동산PF가 조정 국면에 있는데 묶여 있는 자금이 부동산이 아니라 신성장으로 돌아가도록 도와줘야 하며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이 부동산 구조조정에 사용되는 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