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자산운용은 이번 보수 인하가 미국의 대표 성장주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의 비용 부담을 낮추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같은 미국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 관련 ETF의 경우, 연금 계좌를 통해 오랜 기간 투자하는 투자자가 많은 만큼 작은 차이가 복리효과로 인해 향후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다.
'PLUS 미국S&P500성장주' ETF는 인공지능(AI), 반도체, 클라우드, 자율주행, 휴머노이드 등 성장성이 높은 섹터의 비중을 높여 S&P500 대비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점이 특징이다. 동시에 헬스케어, 금융, 소비재 등 다양한 섹터에 분산 투자한다.
기간별 수익률은 지난 20일 기준 최근 1개월 1.8%, 3개월 10.7%, 상장 이후 14.3%이다. 같은 기간 S&P500 지수(원화화산)의 수익률인 1.5%·7.4%·9.5%보다 나은 성과를 넘어섰다.
'PLUS 미국S&P500 성장주'는 S&P500지수 대비 기대 자본차익은 크지만 배당률이 낮기 때문에, 최근 외국납부세액환급제도가 폐지되는 등의 변화에도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외국납부세액환급제도가 폐지되며 분배율이 높은 해외 대표지수에 투자하는 국내 상장 ETF에서 자금이 빠져나가는 흐름이 포착되고 있다.
금정섭 한화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PLUS 미국S&P500성장주 ETF는 'S&P500' 대비 꾸준히 초과 성과를 기록해 온 만큼 이번 보수 인하와 함께 투자자들에게 장기적인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