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리콜제품 국내서 버젓이 유통...소비자원 "1336건 차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홍승완 기자
입력 2025-02-25 14:4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주요 품목별 리콜 사유 사진한국소비자원
주요 품목별 리콜 사유 [사진=한국소비자원]

안전성 문제로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이 여전히 국내에서 유통·판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의 국내 유통 현황을 점검해 1336건을 차단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중 577건은 최초 적발된 것이며 759건은 재유통되다 시정 조처된 사례다.

처음 적발된 577건을 품목별로 보면 음식료품이 155건(26.9%)으로 가장 많았고 가전·전자·통신기기 149건(25.8%), 아동·유아용품 84건(14.6%) 등이 뒤를 이었다.

품목별 리콜 사유는 음식료품의 경우 유해 물질 및 알레르기 유발 성분 함유가 89건(57.4%)으로 가장 많았고 이물질 함유가 28건(18.1%), 부패·변질이 25건(16.1%) 등이었다. 가전·전자·통신기기는 전기적 요인(40건·26.8%)이 대다수였고 아동·유아용품은 부품 탈락, 삼킴, 질식 위험에 따른 리콜(32건·38.1%)이 주를 이뤘다.

577건 중 제조국 정보가 확인된 305건을 제조국별로 보면 중국산 제품이 191건(62.6%)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산이 33건(10.8%)으로 그 뒤를 이었다. 중국산은 가전·전자·통신기기 리콜 건수가 85건(44.5%)으로 전체의 절반에 육박했다. 아동·유아용품 46건(24.1%), 생활·자동차용품 28건(14.7%)도 큰 비중을 차지했다. 미국산은 생활화학제품(10건), 가전·전자·통신기기(6건), 음식료품(5건) 등의 순이었다.

해외 리콜 제품의 국내 유통 차단 건수는 매년 증가세다. 2022년 807건, 2023년 986건이며 지난해 건수는 2023년보다 35.5% 늘었다. 대부분은 오픈마켓 구매 대행이나 전문 구매대행 사이트를 통해 유입됐다.

한국소비자원은 "해외직구 플랫폼을 집중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하고 '해외 위해물품 관리 실무협의체'에 참여하는 정부 유관기관과 협업해 시장 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