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미분양 전국 2만3000가구…11년 3개월 만에 최대치

서울 강남구에서 바라본 도심 전경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서울 강남구에서 바라본 도심 전경.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지난달 준공 후에도 팔리지 않은 '악성 미분양' 가구 수가 2만3000가구에 육박해, 11년 3개월 만에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는 일반 미분양이 1개월 새 2000가구 이상 늘면서 7만2000가구대로 증가했다. 건설업계 침체로 인허가·착공 등 주택 공급 선행지표도 여전히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2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2624가구를 기록해, 전월 대비 3.5%(2451가구) 증가했다.

이번 미분양 증가 가구는 모두 수도권에서 나왔다. 평택에서 미분양 가구가 크게 늘며 경기 전체 미분양 가구 수도 1개월 만에 2181가구가 늘었다. 수도권 미분양은 전월보다 16.2%(2751가구) 증가한 1만9748가구를 나타냈고, 지방에서는 0.6%(300가구) 감소한 5만2876가구로 집계됐다.
 
특히 악성 미분양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지난달 말 2만2872가구를 기록해, 전월 대비 6.5%(1392가구)나 늘었다. 이는 2013년 10월(2만3306가구)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다. 악성 미분양은 지난 2023년 8월부터 18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 증가한 악성 미분양의 86%는 지방에 집중돼 지방의 악성 미분양 문제가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의 악성 미분양이 401가구 증가해 전체 악성 미분양 규모도 3075가구로 늘었다. 부산 역시 382가구 늘어난 2268가구를 기록했다.
 
착공 물량이 1년 만에 절반 넘게 감소하는 등 연초 각종 주택 공급 지표 역시 뒷걸음치고 있다.
 
지난달 전국 주택 인허가는 2만2452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0% 줄었다. 수도권 인허가는 37.9% 늘며 1만5128가구로 증가했지만 지방 50.7% 줄며 7324가구로 감소한 여파다.
 
1월 주택 착공은 1만178가구로, 지난해 동기간보다 55.7% 줄었다. 수도권 착공이 68.4% 감소하며 3985가구에 그쳤고, 지방도 40.1% 감소한 6193가구 수준에 머물렀다. 1월 분양 가구 수도 7440가구로, 지난해 동기 대비 46.2% 줄었다. 다만 준공 실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5% 늘어난 4만1724가구를 기록했다.
 
연초 전체 주택 매매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주택 매매 거래는 3만8322건으로 전월 대비 16.5% 줄었다. 서울의 주택 매매거래는 5307가구로, 전월 대비 6개월 연속 감소 중이다. 특히 아파트 거래가 3233건으로 전월(3656건)보다 11.6% 감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