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어 부산물로 고부가가치 PDRN 등 국내 생산기술 확보

  • 수산부산물 활용한 바이오의약품·화장품 산업화도 성공

연어 부산물로부터 생산된 피디알엔 및 제품 사진해양수산부
연어 부산물로부터 생산된 피디알엔 및 제품 [사진=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는 17일 수산부산물을 활용한 바이오의약품과 기능성화장품을 상용화해 국내 백화점 50여곳과 50만 달러 수준의 수출계약까지 체결하는 등 산업화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해수부는 생선의 머리, 해조류 뿌리 등 수산부산물 고부가가치 상품화를 위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산업화하기 위해 2022년부터 '해양수산부산물 바이오 소재화 기술개발(2022~2027)' 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최근 오철홍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한국식품연구원(KFRI), 오건에코텍과 공동으로 연어 부산물을 활용해 '폴리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PDRN)'과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을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국산화 기술을 개발했다. 

PDRN는 주로 연어정소에서 추출되며 세포재생, 상처치료, 각질제거, 주름개선, 미백, 발모 및 탈모예방 등 효과가 나타난다. 프로테오글리칸은 무릎 관절의 연골재생에 도움을 주며 강력한 피부보습 효능도 가지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공정은 기존 기술과 달리 에탄올 추출 공정 대신 특허받은 친환경 공정을 적용해 위험물관리법, 소방법, 건축법의 적용을 받는 에탄올 추출실이 필요 없게 되면서 생산성뿐만 아니라 가격경쟁력까지 갖춰 산업화에서도 장점이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지난해 오건에코텍은 피디알엔과 프로테오글리칸의 추출 관련 특허를 등록했고 화장품(멀티밤), 삼푸, 연골재생 건강기능식품 등 상용화 제품을 출시했다. 최근에는 브라질의 기업과 50만 달러의 수출계약(분말원료)을 체결했으며 생산 소재인 피디알엔과 프로테오글리칸의 활용처에 대한 추가 협의도 진행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 국산화 기술의 산업적 생산성을 높이고 공급단가를 안정화하기 위해 표준생산공정과 신규 소재 개발에도 착수했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우리나라는 수산물 소비량이 많은 국가인 만큼 막대한 양의 수산부산물이 발생하고 있어 부산물을 단순한 폐기물이 아닌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도 수산부산물을 고부가가치 원료로 전환하는 연구를 확대해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산업화 가능성을 높이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