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 AI연구원이 중국 딥시크(DeepSeek)를 능가하는 추론 인공지능(AI) ‘엑사원 딥(EXAONE Deep)’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에이전틱(Agentic) AI’ 시대로의 전환을 예고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AI 추론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미래 사업으로 주목한 AI 산업도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LG AI연구원은 17일(현지시간)부터 21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열리는 엔비디아의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GTC)에 참가해 엑사원 딥을 소개한다고 18일 밝혔다.
LG AI연구원에 따르면 엑사원 딥은 딥시크 R1(6710억개 매개변수)의 5%에 해당하는 320억개 매개변수만으로도 미국과 중국의 주요 모델을 뛰어넘는 성능을 입증했다.
특히 복잡한 수학과 과학 문제 해결 능력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엑사원 딥-32B는 한국어에 강점을 가진 엑사원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2025학년도 수능 수학 영역에서 94.5점을 기록하며 최고점을 달성했고, 선택 과목(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모두에서 1등급을 받았다. 또한 수학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인 MATH-500에서 95.7점을 기록했다.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박사 수준 과학 추론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과학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는 GPQA 다이아몬드 테스트에서는 66.1점을 받아 매개변수 규모가 유사한 다른 추론 AI 모델을 앞섰으며, 코딩 능력을 평가하는 라이브코드벤치(LiveCodeBench)에서도 59.5점을 기록하며 경쟁력을 입증했다.
LG AI연구원은 엑사원 딥-32B와 함께 개발한 경량 모델 ‘엑사원 딥-7.8B’와 온디바이스 모델 ‘엑사원 딥-2.4B’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경량 모델은 32B 대비 24% 크기임에도 성능은 95%를 유지하며, 온디바이스 모델은 7.5% 규모로도 성능이 86%에 달해 경제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갖췄다고 LG AI연구원 측은 설명했다.
성능 면에서도 뛰어남을 자랑했다. 경량 모델 7.8B는 미국 오픈AI의 o1-mini를 상회하는 성능을 보였고, 온디바이스 모델 2.4B 역시 동급 모델 대비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기록했다.
업계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국내 최초의 AI 추론모델 등장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특히 구 회장이 역점 사업으로 삼은 AI 분야가 한층 더 힘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엑사원 딥의 온디바이스 AI 기술은 LG 그룹 계열사와 큰 시너지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온디바이스 모델은 외부 서버 연결 없이 기기 내부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처리해 보안성과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 강점을 가지며, 이는 올해부터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LG AI연구원은 LG전자의 가전, LG유플러스의 무선통신 사업 등 계열사들과 협력해 모델을 고도화하며 온디바이스 AI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
구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고 전에 없던 가치를 창출한 순간들이 쌓여 지금의 LG가 됐다”며 “AI와 같은 첨단 기술을 일상에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중한 시간을 더 즐겁고 의미 있는 일에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