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중일 "한반도 평화는 공동 책임…정상회담 조기 개최"(종합)
한·중·일 3국의 외교 수장들이 일본 도쿄에서 한자리에 모여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은 22일 도쿄 외무성 이쿠라공관에서 '제11차 한·중·일 외교장관회의'를 열어 협력 방향 및 지역 정세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조 장관은 회의를 마친 후 기자회견에서 "한·중·일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의 유지가 3국의 공동 이익이자 책임임을 확인했다"며 "북핵 문제와 한반도 평화 안정에 영향을 받는 3국의 소통이 계속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저는 (회의에서) 3국이 유엔 안보리(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는 한편 북한의 도발 중단과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며 "불법적 러·북 군사협력은 즉각 중단돼야 하며 북한이 우크라이나 종전 과정에서 잘못된 행동에 대해 보상받아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왕이 주임은 한반도에 불안정과 불확실 요소가 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각 측은 한반도 문제의 근원을 직시하고 마주 보고 선의를 내보여야 한다"며 "서로 소통을 진행하며 최대공약수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장관, 美 상무장관에 '상호관세 우호적 대우' 요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에게 다음 달 2일로 예고된 상호관세와 관련 한국에 대한 우호적 대우를 재차 요청했다.
양국 장관의 이번 면담은 지난달 27일 첫 회담 이후 3주 만에 다시 열렸다. 안 장관은 지난달에 이어 이번 면담에서도 상호관세 등 미국 정부의 관세 조치 계획에서 한국에 대한 우호적 대우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미국이 관세 조치를 시행하면 한미 양국의 경제와 산업이 긴밀히 연계돼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尹 변호인단 "대통령, 24일 형사재판 공판 준비기일 불참"
윤석열 대통령 변호인단이 윤 대통령은 오는 24일 열리는 형사재판 2차 공판준비기일에 출석하지 않는다고 22일 밝혔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지귀연 부장판사)는 24일 오전 10시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기소된 윤 대통령의 두 번째 공판준비기일을 열 예정이다.
재판부가 지난 7일 윤 대통령 측의 구속취소 청구를 받아들인 뒤 처음으로 열리는 재판이다. 공판기일에는 피고인이 나가야 하지만 공판준비기일에는 피고인이 출석할 의무는 없다. 변호인단은 "관련 절차에서는 변호인들이 출석해 공소사실 및 절차, 증거 등에 대해 의견을 진술하고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20일 열린 1차 공판준비기일에 출석했다.
트럼프, 바이든·해리스·힐러리 기밀접근권 박탈…"보복 차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 바이든 전 대통령 등 정치적 적대 인사에 대한 정부 기밀 접근권을 대거 박탈하는 지시를 내렸다.
22일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와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전 대통령,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등의 기밀 취급인가 및 접근권을 취소하는 지시를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바이든 전 대통령의 기밀 취급인가를 박탈하고 기밀 브리핑을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의 전직 대통령은 퇴임 후에도 자신의 임기와 관련된 기밀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갖고 기밀에 대한 정보 브리핑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정보 접근 권한을 막은 것은 복수의 성격을 띤 것으로 분석된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2021년 취임 직후 전임자인 트럼프 대통령에게 기밀 브리핑을 중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