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5차 - 분양광고 : 최세나요청 2025-03-19

[기자의 눈] 숫자에 매몰된 방한 정책, 본질에 집중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다이 기자
입력 2025-03-27 09: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김다이 기자

“중국인 관광객 수 회복을 가속화하기 위해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한 한시적 비자 면제를 3·4분기 중 시행하겠습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0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경북 경주시에서 열린 관광 분야 민생경제 점검회의에서 밝힌 말이다.

이는 정부의 ‘방한 관광시장 글로벌 성장 전략’의 일환이다. 정부는 올해 방한 외래 관광객 1850만명 유치를 목표로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허용’이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다시 돌아올 수 있다는 기대보다, 과거의 부작용이 반복될 수 있다는 경계심이 커지고 있다. 단체 관광이 재개되면 ‘관광객 수 증가’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질적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과거 중국인 단체 관광은 저가 덤핑, 불법 가이드, 쇼핑 위주의 획일적인 일정으로 한국 관광에 부정적인 이미지를 남겼다.

관광 전문가들은 정부가 ‘양적 성장’에만 매몰돼 있다고 비판한다. 중요한 것은 ‘숫자’가 아니라 ‘관광객의 만족도’라는 질적 성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한 관광학부 교수는 “매년 ‘몇만 명 유치’라는 목표를 외치지만, 그 숫자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모르겠다”며 “크루즈 관광객은 기항지에 잠깐 내려 관광지 몇 곳을 들른 뒤 다시 떠나고, 중국 단체 관광객도 의미 없는 무료 관광지와 쇼핑센터만 둘러보는 경우가 많다. 이들이 방한객 수 증가에는 기여하겠지만, 그것이 과연 얼마나 의미 있는 숫자인지는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관광산업은 ‘양보다 질’이 중요하다. 숫자만 채우는 방식으로는 지속 가능한 성장도, 지역 균형도, 산업 경쟁력도 담보할 수 없다. 정부는 관광객 수 확대라는 정량적 목표뿐만 아니라 ‘어떤 관광객이 어떤 경험을 하며 무엇을 남기고 가는가’라는 정성적 지표에 주목해야 한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정책이 또 하나의 ‘숫자 장사’로 전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제도 설계와 철저한 사후 관리, 업계 및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소통이 필수다. 관광정책은 단순한 이벤트가 아니라, 국가 이미지와 산업 체질을 결정짓는 장기적 투자라는 점을 잊어선 안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