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5차 - 분양광고 : 최세나요청 2025-03-19

AI와 노동을 더하다…"인간 대체가 아닌 인류 보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유진 기자
입력 2025-03-28 11:1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경사노위 '인공지능 노동연구회' 회의 개최

  • 공장 기능 유연화 제언…생산성 ↑

  • "고용 질 향상·기업가치 증대 기여"

장영재 카이스트 교수가 28일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대회의장에서 개최된 인공지능 노동 연구회 회의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유진 기자
장영재 카이스트 교수가 28일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대회의장에서 개최된 '인공지능 노동 연구회' 회의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유진 기자]
인공지능(AI)의 노동현장 도입이 인간을 대체하는 것이 아닌 인류를 보강하는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또 자율공장의 구축으로 생산성·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인공지능(AI)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해가면서 변화하는 노동시장의 근로환경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인공지능 노동 연구회'를 발족한 바 있다.

28일 경사노위는 'AI 기반 제조업 혁신과 일자리 변화'를 주제로 6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제조 현장에서 인공지능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의 방식과 노동시장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가장 먼저 발제자로 나선 장영재 카이스트 교수는 '제조AI와 경제·사회·노동의 변화'를 주제로 발표했다. 장 교수는 AI와 디지털트윈 기반의 원격·무인 공장체계를 설명하며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공장의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확장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생산성 향상을 넘어 고용의 구조와 국가 제조 기반의 재편이라는 차원에서 접근돼야 한다"고 부연했다.

이어 발제를 맡은 박정윤 인터엑스 대표는 '제조AI활용 사례 및 현황'을 통해 자율공장 구축이 생산성·품질·비용 측면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작업자 간 품질 관리의 불균일성을 해소하고 관리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됐다"며 "불량 발생 시 숙련·비숙련 인력의 신속한 대응과 양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AI기술이 고용의 질을 높이고 실질적인 기업 가치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 발표는 조정철 LS일렉트릭 부장이 'AI와 일자리 변화에 대하여: 사례중심으로'를 주제로 이어갔다. 디업의 디지털 전환(DX)과 AI 도입이 일의 본질과 노동 방식을 어떻게 재정의 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다뤘다. 조 부장은 "AI를 인간을 대체하는 기술이 아닌 '인류를 보강하는 기술'로 이해해야 한다"며 "사람과 AI의 협업 구조를 정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노·사·정 위원과 전문가 위원들이 제조업 디지털 전환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과 AI 도입에 따른 직무 재설계, 교육훈련의 필요성, 노동시장 법제도 개선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장지연 공동좌장(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금까지 현장의 기술 변화에 주목해 왔으며 앞으로는 노동시장·고용변화, 일자리 창출 및 근로자 보호를 위한 법제도 개선, 교육·훈련 등 인재양성 방안 등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덕호 공동좌장(경사노위 상임위원)은 "향후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논의 활성화를 위해 7월경 토론회를 개최하고, 이후 우리 사회의 고민과 질문을 담은 '녹서(綠書)'를 발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