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인공지능(AI)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해가면서 변화하는 노동시장의 근로환경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인공지능 노동 연구회'를 발족한 바 있다.
28일 경사노위는 'AI 기반 제조업 혁신과 일자리 변화'를 주제로 6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제조 현장에서 인공지능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의 방식과 노동시장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가장 먼저 발제자로 나선 장영재 카이스트 교수는 '제조AI와 경제·사회·노동의 변화'를 주제로 발표했다. 장 교수는 AI와 디지털트윈 기반의 원격·무인 공장체계를 설명하며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공장의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확장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생산성 향상을 넘어 고용의 구조와 국가 제조 기반의 재편이라는 차원에서 접근돼야 한다"고 부연했다.
마지막 발표는 조정철 LS일렉트릭 부장이 'AI와 일자리 변화에 대하여: 사례중심으로'를 주제로 이어갔다. 디업의 디지털 전환(DX)과 AI 도입이 일의 본질과 노동 방식을 어떻게 재정의 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다뤘다. 조 부장은 "AI를 인간을 대체하는 기술이 아닌 '인류를 보강하는 기술'로 이해해야 한다"며 "사람과 AI의 협업 구조를 정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노·사·정 위원과 전문가 위원들이 제조업 디지털 전환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과 AI 도입에 따른 직무 재설계, 교육훈련의 필요성, 노동시장 법제도 개선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장지연 공동좌장(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금까지 현장의 기술 변화에 주목해 왔으며 앞으로는 노동시장·고용변화, 일자리 창출 및 근로자 보호를 위한 법제도 개선, 교육·훈련 등 인재양성 방안 등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덕호 공동좌장(경사노위 상임위원)은 "향후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논의 활성화를 위해 7월경 토론회를 개최하고, 이후 우리 사회의 고민과 질문을 담은 '녹서(綠書)'를 발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